경고에도 미 권력 3위 방문…임계점 향하는 대만 갈등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방문으로 대만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임계점을 향하는 모습입니다.<br />서로를 향한 불신 속에 각자의 국내 정치 상황까지 맞물리며 긴장은 고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권력서열 3위 하원의장의 방문은 25년 전에도 있었지만 중국의 대응 수위는 그때와는 사뭇 다릅니다.<br /><br />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강경 대응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사이 중국의 국력이 급성장했고 미국과의 패권 경쟁 속에서 전략적 불신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미국이 대만과 손잡고 궁극적으로 대만을 독립국가로 만들려 한다는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고, 미국은 중국이 여건만 허락하면 대만을 무력통일하려 한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로 상대를 '대만 해협의 현상변경 세력'으로 간주하는 상황인 것입니다.<br /><br />군사안보적 차원뿐만 아니라 반도체 등 기술 패권 확보 측면에서 대만의 가치가 더해지며 신경전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미 권력 서열 3위 하원 의장의 대만행은 갈등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됐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삼권 분립에 따라 의회 인사의 방문은 행정부의 관할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공산당 일당체제인 중국은 이 설명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펠로시 미 하원 의장의 대만 방문과 활동은 어떤 방식과 목적에서든 대만과 미국의 공식적인 교류를 강화하기 위한 중대한 정치적 도발입니다. 중국은 이를 절대 용납할 수 없으며 중국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."<br /><br />백악관은 주권 침해가 아니며 하나의 중국의 원칙에도 변함이 없다고 반박했지만 일각에선 이번 방문을 미국의 유사시 대만방어 공약 굳히기로 보는 시각도 존재합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이 그간 이같은 의중을 수차례 드러낸 바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미 국방부가 진화에 나서긴 했지만,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에도 '대만을 방어하기 위해 군사개입을 할 것이냐'는 기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 "(대만 방어를 위해 군사적으로 개입할 것입니까?) 네. 그것은 우리의 약속입니다."<br /><br />중국이 군사적 대응 가능성을 암시한 상황에서 권력서열 3위 인사가 방문을 감행한 건 미국의 대만 방어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펠로시 의장도 이번 방문이 대만의 민주주의를 지원하겠다는 미국의 약속을 지키려는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양국 모두 중간선거와 당대회라는 중요한 정치적 이벤트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대만을 둘러싼 미중 사이 긴장은 최고조로 치닫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대만_펠로시 #대만_갈등 #미중_갈등 #양안관계 #하나의_중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