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낸시 펠로시 미 하원 의장이 조금 전 대만을 떠나 한국으로 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1박2일 대만에 머무는 동안 그의 행보는 거침이 없었는데요. <br> <br>시진핑 중국 주석이 인권 유린을 한다고 비판하더니, 대만 뿐 아니라 홍콩, 티베트, 신장, 중국의 인권 문제를 하나하나 건드렸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전해드리겠지만 중국은 “머리가 깨지고, 불에 타 죽을 거”라는 험한 말을 퍼부으며 대만 포위 작전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펠로시 의장이 대만을 떠났지만, 대만 해협 긴장감은 더 고조되고 있는데요. <br> <br>대만에서 중국이 싫어할 인사만 만나고 다녔던 펠로시 의장 하루부터 전혜정 기자가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 의장은 우리 시각으로 오후 6시 50분 쯤 한국행 전용기에 몸을 실었습니다. <br><br>중국 측의 납치·격추 엄포에 어제 말레이시아에서 대만까지 평소 5시간이 걸리는 하늘길을 2시간 더 우회해했던 펠로시 의장은 오늘도 중국 방공식별구역을 크게 우회해서 입국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펠로시 의장은 어제 첫 대만 일정부터 시진핑 주석을 향한 비판 기고문으로 포문을 열더니, 오늘 하루를 '반중' 일정으로 채웠습니다.<br> <br>차이 잉원 총통과 만나선 중국을 독재로 표현하는가 하면, <br> <br>[낸시 펠로시 / 미국 하원 의장] <br>"세계는 민주주의와 독재 사이의 선택에 직면해 있습니다."<br> <br>홍콩 민주화 운동을 언급하며 대만 민주주의를 치켜세우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낸시 펠로시 / 미국 하원 의장] <br>"우리는 대만의 민주주의로부터 큰 교훈을 얻습니다. 홍콩에서 일어난 일보다 더 많은 증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." <br><br>차이 총통은 펠로시 의장에게 대만-미국간 교류에 기여한 공로로 최고 등급 훈장을 수여했습니다. <br> <br>펠로시 의장은 이어 톈안문 시위를 주도한 신장 위구르 출신 인권운동가 우얼카이시와 홍콩에서 공산당 비판 서적을 팔았다는 이유로 구금됐던 람윙키 등을 만나며 중국의 인권 문제를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미국이 추진하는 '칩4 동맹'에 참여하는 대만 반도체업체 TSMC 마크 리우 회장도 만나 대대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잠시 뒤 한국에 도착하는 펠로시 의장은 내일 오전 김진표 국회의장을 만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이태희<br /><br /><br />전혜정 기자 hy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