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부턴 공태현 베이징 특파원이 중국 반발을 전해드릴텐데요. <br> <br>대만을 이렇게 완전히 포위하는 군사 훈련을 시작했고, 대만산 제품 수입을 중단하는 경제 보복도 단행했습니다. <br> <br>영상으로 보시겠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대만 주변 해상과 상공에서 군사 행동에 돌입한 중국군은 이례적으로 연이틀 훈련 영상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미국과 대만을 적대 세력으로 지목했습니다. <br> <br>[구중 / 중국인민해방군 동부전구 부참모장] <br>"합동군사작전은 미국과 대만 당국의 위험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꼭 필요한 조치입니다." <br><br>내일부터 나흘 동안에는 대만을 사방에서 포위하는 형태의 군사 훈련과 실탄 사격을 예고했습니다. <br><br>이 기간 선박과 항공기 운항도 통제했습니다. <br> <br>당분간 미국과의 대화 단절도 시사했습니다. <br> <br>왕이 외교부장은 오늘부터 열리는 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만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[중국 관영 CCTV(왕이 외교부장 담화) <br>"평화적 굴기를 파괴하려는 시도는 완전히 헛된 일이다. 반드시 머리가 깨져 피를 흘리게 될 것이다." <br><br>앞서 중국 외교부는 어제 심야에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해 "(대만 방문은) 극도로 악랄하고 후과는 극히 엄중하다"고 항의했습니다. <br><br>베이징 시내에 있는 미국 대사관 앞입니다. <br> <br>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 직후 중국 공안들이 대사관 주변 곳곳에 배치됐는데요. <br> <br>미국 대사관을 겨냥한 적대행위 등 돌발 사태를 대비하는 모습입니다. <br><br>경제 보복도 이어졌습니다. <br><br>그제 대만산 과자 등 100여개 식품 기업 제품의 수입 중단 조치를 시작으로 오늘은 중국산 천연 모래와 대만산 과일 등의 수출입을 중단했습니다. <br><br>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기업인 중국 닝더스다이 사도 조만간 공개하려던 북미 투자 계획을 보류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<br>공태현 베이징 특파원<br> 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공태현 기자 ball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