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제동원 해법 모색 민관협의회 출범 한달만에 중단 위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일관계의 최대 쟁점 '강제동원 배상 문제'의 해법을 모색하는 민관협의회가 출범 한달만에 최대 위기에 처했습니다.<br /><br />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측이 최근 외교부가 사전 논의나 통지 없이 대법원에 의견서를 제출해 "신뢰가 깨졌다"며 회의 불참을 선언한 건데요.<br /><br />장윤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일본제철·미쓰비시중공업·후지코시 강제징용 피해자 지원단체와 법률대리인이 외교부 청사 앞에서 긴급 회견을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6일 외교부가 피해자 측을 건너 뛰고 대법원에 의견서를 제출한 점을 문제 삼으며 정부가 꾸린 민관협의회 불참을 선언한 겁니다.<br /><br />지난달 4일 민관협의회가 출범한 지 한달만입니다.<br /><br /> "외교부 의견서 제출로 인해 신뢰가 훼손되었기에 민관협의회 불참을 통보합니다. 다만 피해자 측은 이후 정부안이 확정되면 이에 대한 동의 여부 절차에는 협조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피해자측은 또 외교부가 대법원에 제출된 의견서조차 공개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재판 받을 권리를 침해받았다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외교부가 징용 배상 문제에 '다각적 외교 노력'을 기울이고 있다는 의견서를 제출해 사실상 일본 기업 자산의 현금화에 대한 사법부 판단 자제를 요청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에 외교부는 원고 측을 포함한 국내 각계각층의 의견을 듣는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이달 중 이른 시일 내 3차 민관협의회를 열겠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부 피해 할머니가 1차 회의 때부터 불참한 데 이어 그동안 열린 회의에 모두 참석해오던 피해자측마저 불참을 선언하면서, 정부와 피해자가 함께 해법을 마련하기는 더 어렵게 됐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. (ego@yna.co.kr)<br /><br />#외교부 #민관협의회 #대법원의견서 #불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