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PEC+ 찔끔 증산…바이든의 사우디행 빈손 확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OPEC 플러스가 다음달 원유 증산량을 결정했는데, 그 양이 전 세계 수요의 0.1%, 즉 86초면 다 소비되는 수준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약 3주 전 바이든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이 아무런 성과를 남기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하는 석유수출국기구, OPEC과 러시아 등 비(非) OPEC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.<br /><br />지난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 이후 OPEC 플러스의 정례회의가 처음 열렸습니다.<br /><br />회의에서 결정된 9월 원유 증산량은 하루 10만 배럴이었습니다.<br /><br />7월과 8월 증산량의 15%, 전 세계 수요의 0.1%에 불과한 양이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바이든 대통령뿐 아니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까지 사우디의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났지만 아무런 효과를 보지 못한 겁니다.<br /><br />특히 '인권 정책의 후퇴'라는 비판까지 들어가며 사우디로 갔던 바이든 대통령의 빈손 귀국이 확인돼 체면을 구기게 됐습니다.<br /><br /> "석유 생산은 이번 회담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았습니다. 그건 사실 이번 회담의 주제가 아니었습니다. OPEC+는 최근 시장 상황에 대응했으며 앞으로 시장 상황을 계속 평가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백악관은 최근 유가가 내려가고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며 화살을 피하려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 "배럴당 원유 가격은 약 120달러였는데, 지금은 95달러 정도 합니다. (원유와 천연가스 가격은) 바이든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 발표 이후 내려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OPEC 플러스의 이번 결정에는 서방의 증산 요구와 회원국인 러시아의 입김, 원유 수요 감소 전망 등이 고루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<br /><br />#OPEC+ #원유_증산 #바이든 #사우디_무함마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