펠로시는 대만 떠났지만 후폭풍 상당…미국서도 비판 여론 고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19시간의 대만 체류 일정을 마치고 떠났지만 후폭풍이 상당합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중국이 이번 일을 구실삼아 군사적 긴장을 높이고 있다는 주장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미국 내에서도 비판론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만에서 약 19시간 동안 머물다 떠난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.<br /><br />하지만 대만해협을 둘러싼 미중간 긴장의 여진은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자국의 주권과 영토 완전성, '하나의 중국' 원칙에 대한 엄중한 침해로 간주한 중국은 즉각 무력 시위의 수위를 끌어올렸습니다.<br /><br />지금은 대규모 군사훈련 수준에서 위협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군사적 행동을 취할지 불안감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관련 조치는 결연하고 힘있고 실효성이 있을 것이며, 미국과 대만의 독립 세력이 이를 계속 느끼게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 의사를 존중한다는 뜻을 밝혀온 미국 백악관은 대응책 마련에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재발로 격리된 와중에도 관련 회의를 주재한 조 바이든 대통령은 대만이 속한 인도·태평양 지역에 대한 지속적 지원을 언급하며 사실상 정면 돌파 의지를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은 위기를 추구하지도 원하지도 않습니다. 하지만 베이징의 선택은 기꺼이 감당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."<br /><br />한편 미 현지 언론들에서는 펠로시 의장의 대만행을 두고 비판론이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는 방문 시기가 적절했는지 반문하며, '현명하지 못했다'고 직격했고, 뉴욕타임스는 역내 긴장 고조로 인해 한국을 포함한 인도·태평양 지역에서의 동맹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<br /><br />#낸시_펠로시 #대만 #중국 #대규모_군사훈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