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교부는 4일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에 대한 ‘의전 홀대’ 논란과 관련 “외국 국회의장 등 의회 인사의 방한에 대해서는 통상 행정부 인사가 영접을 나가지 않는다”며 정부 책임론을 부인했다.<br /> <br /> <br /> 안은주 외교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“(외교부가 수행하는)외빈 영접은 정부의 공식초청에 의해 방한하는 외빈에 대해 제공하는 예우로, 의전 지침상 국가원수, 총리, 외교부 장관 등 정부 인사에 대해 제공하도록 돼 있다”며 이같이 밝혔다.<br /> <br /> <br /> 안 부대변인은 이어 “펠로시 의장의 카운터파트는 우리 국회의장이고, 금번 방한은 기본적으로 한ㆍ미 의회 교류의 일환”이라며 “미국 의회의 카운터파트인 국회에 (의전)관련 규정이 마련돼 있는 것으로 안다”고 했다. 그러면서 “1997년 뉴트 깅그리치 당시 미 하원의장이 방한했을 때나 최근 다른 나라 국회의장 방한 시에도 정부 측 영접 인사는 없었다”고 강조했다.<br /> <br /> <br /> 펠로시 의장은 미국 입법부의 수장으로, 카운터파트인 국회가 의전 문제를 조율했어야 한다는 의미다.<br /> <br /> <br /> 펠로시 의장은 지난 3일 오후 대만 방문을 마치고 오산 미 공군기지에 도착했다. 그런데 미국 권력 서열 3위에 해당하는 하원의장의 입국장엔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,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 등 미국 측 인사 외에 한국 정부나 국회 인사들이 참석하지 않으면서 홀대 논란이 일었다. <br /> <br />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92099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