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와 맞물려 위·중증 환자 수 역시 두 달 반 만에 300명대로 올라섰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위·중증 환자 대부분이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집계되면서 요양병원과 같은 고위험군이 모여 있는 시설엔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 기자 나가 있습니다. 김혜린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경기 파주시 요양병원에 나와 있습니다.) <br /> <br /> <br />확진자 증가세에 요양병원도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 같은데, 현장 분위기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고령층 환자 250여 명을 돌보고 있는 이곳 요양병원은 코로나19 재확산 국면에서 감염병 관리에 다시 고삐를 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르신들의 단체 활동은 대부분 사라지고, 외부인의 출입은 다시금 제한됐는데요. <br /> <br />병원 측은 감염 위험이 커진 가운데에서도 어르신과 보호자들의 편의를 위해 힘쓰고 있지만, 코로나19를 거치면서 간호·간병 인력을 확보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호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하루 신규 확진자가 10만 명대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, 위·중증 환자 수도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기준으로 두 달 반 만에 3백 명대를 기록한 위·중증 환자 수는, 10명이 추가돼 320명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재유행의 여파로 이번 달 중순쯤 위·중증 환자 수가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7·80대 고령층이 위·중증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고령층 환자를 모시는 요양병원 등에는 비상이 걸렸는데요. <br /> <br />6월 마지막 주 10건으로 집계됐던 감염취약시설 집단감염 건수는 7월 셋째 주에 51건까지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결국 지난달 25일부터 다시금 요양병원·시설에서의 대면접촉 면회를 금지하고, 비접촉 면회만 허용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 병원 역시 정부 방침에 따라 칸막이를 두고 대화하거나 영상통화 하는 식으로 비접촉 면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시설 밖 고령층 확진자에 대한 우려는 더욱 큽니다. <br /> <br />최근 재택치료 중인 환자가 석 달여 만에 다시 50만 명을 넘어섰지만, 고령층 등을 대상으로 하던 재택치료 전화 모니터링이 중단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대면 진료를 확대하겠단 취지에서지만, 전문가들은 혼자 사는 어르신들이 응급 상황에 제때 대처하거나 증상을 인지하기 쉽지 않을 거라고 설명하는데요. <br /> <br />결국 고령층 재택치료자 가운데 위·중증 환자나 사망자가 늘어날 거란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혜린 (khr08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80510053148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