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"한국, 사드 운용제한 정식 선언했다"…'3불에 1한까지 요구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사드와 관련한 양국 간 입장차는 뚜렷하게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회담 이후 한국 정부의 입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주장을 했는데요.<br /><br />한국 정부가 기존에 배치된 사드의 운용 제한을 대외적으로 선언했다고 주장한 겁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의 입장과 배치되는 것으로, 새로운 논란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베이징 임광빈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중 외교장관회담이 끝난 뒤 중국 외교부는 별도의 자료를 통해 사드 문제와 관련한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'안보 우려를 중시하고, 문제의 적절한 처리를 요구했다'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이어진 정례브리핑에서는 그동안의 한국 정부의 입장과는 배치되는 주장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 "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는 중국의 전략적 안보 이익을 현저히 해치고 있습니다. 중국은 이미 여러 차례 한국 측에 우려를 표명했고, 한국 정부는 대외적으로 '3불-1한'의 정치적 선서를 정식으로 했습니다."<br /><br />'1한'은 이미 주한미군에 배치된 사드의 운용 제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의 대외적 선언으로 중국이 표현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한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밝힌 사드와 관련한 입장은 사드 추가 배치를 하지 않고,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으며, 한미일 군사동맹을 하지 않는다는 '사드 3불'이 전부였습니다.<br /><br />이 역시 한중 양국 관계를 고려한 당시 정부의 입장 표명이었을 뿐 약속이나 합의는 아니라는 점을 밝혀왔고, 박진 외교부 장관 역시 이번 회담에서도 같은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기존에 배치된 사드를 정상적으로 운용하지 말라는 요구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한중 관계는 물론 주한미군 사드의 운용 주체인 미국과의 관계에서도 갈등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앞서 북한의 핵·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7년 경상북도 성주에 사드 발사대가 배치되자, 중국은 한한령 등의 보복에 나서며 강하게 반발해 왔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#중국 #사드 #3불_1한 #한중외교장관_회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