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국이 제대로 운용하지 말라는 1한, 이건 경북 성주군에 배치된 사드 기지를 말하는 건데요. <br> <br>배치를 시작한 게 5년 전인데, 아직도 마무리가 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정부는 어떻게든 이달 말 정상화를 하겠다는데요. <br> <br>어느 정도 진척됐는지, 곽정아 기자가 현지에 내려가 있습니다. <br><br>곽 기자, 지금 있는 곳이 사드 기지 앞인가요?<br><br>[기자]<br>네. 저는 지금 경북 성주의 소성리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제 뒤로 보이는 이 길이 사드 기지로 향하는 진입로입니다. <br> <br>이 길을 따라 2km 정도 더 올라가면 사드 포대가 위치한 성주 골프장이 나옵니다. <br> <br>현재는 경찰이 이렇게 바리케이트를 치고 접근을 차단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육로 진입로는 소성리 마을 회관을 지나는 이 길밖에 없어 지역 주민들과 충돌이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 사드기지 정상화 방침이 알려진 뒤 주민들은 사드와 공존할 수 없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반발하고 있는데요, <br> <br> 최근 주민들은 매주 화수목 오전시간에 시위를 벌이고 있고 군용차량들은 이 시간을 피해 주5회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질문2) 국방부는 이달 말 정상화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제 매일 진입하겠다고요?<br><br> 네, 국방부는 이달 말까지 군수품과 건설 자재를 주7일 반입할 수 있도록 지상 접근권을 확보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 사드 운용 정상화를 위해 부지 공여 절차도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, <br><br> 현재까지도 임시 배치 상태인 사드 포대를 작전 배치 상태로 전환하는 작업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 중국이 사드 3불과 함께 우리 정부에게 지킬 것을 주장하는 '1한'이 사드 기지 운용 제한이기 때문에 중국의 반발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 정상화에 앞서 사드 부지 70만㎡에 대한 평가 작업도 이뤄져야 합니다. <br> <br>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여전해 환경영향평가협의회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 이에대해 이종섭 국방장관은 "주민들 의견을 고려해 협의체 구성을 마무리할 것"이라면서도 "기지 안에서 근무하는 많은 장병들의 인권을 위해서라도 정상화는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지금까지 성주 사드 기지 앞에서 채널A 뉴스 곽정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곽정아 기자 kwak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