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물가 '10월 정점' 기대감…관건은 코로나·전쟁

2022-08-14 13 Dailymotion

물가 '10월 정점' 기대감…관건은 코로나·전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6%도 넘은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다음 달 추석이 지나고 가을바람이 불면 조금씩 진정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간 물가 상승을 이끈 국제유가와 곡물가가 조금씩 떨어지고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물론 아직 변수가 많아 안심은 이릅니다.<br /><br />물가 전망을 이재동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수입 물가는 6월보다 0.9% 하락해 석 달 만에 상승세가 꺾였습니다.<br /><br />중동산 원유 가격의 가늠자인 두바이유가 6월에 비해 9% 가까이 떨어진데다 밀, 옥수수 가격도 각각 9.4%, 1.9%씩 내린 영향입니다.<br /><br />원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 성격상 수입 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.<br /><br />조만간 물가 상승세가 꺾일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.<br /><br /> "추석 지나면서부터 서서히 (물가) 오름세가 주춤해지고 9월 또는 늦어도 10월에는 정점을 찍고 서서히 하락세로 가지 않겠느냐…."<br /><br />물론 물가 안정을 자신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의견도 많습니다.<br /><br />원·달러 환율이 하향세지만 여전히 1,300원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고, 폭우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불안 요인입니다.<br /><br />세계적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중국의 코로나19 확산 상황과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역시 전망도, 통제도 어려운 대형 변수들입니다.<br /><br /> "연말에 가까워지면 에너지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늘고, 러시아가 확전을 한다는 신호가 되면 원자재 가격이 다시 올라가고 그렇게 되면 물가상승률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거죠."<br /><br />물가 상승세가 가을에 꺾인다 해도 외식 물가나 서비스 요금 등은 한 번 오르면 다시 내려가기 어려운 점도 고물가 상황이 내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관측되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물가 #유가 #인플레이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