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7일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 대해 “원론적 수준의 기자회견이어서 아쉬웠다”는 평가가 정치 평론가나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왔다. 기억에 남거나 임팩트 있는 내용이 없었다는 것이다. <br /> <br /> 윤 대통령은 이날 총 54분에 걸쳐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모두발언에만 20분을 할애했다. 전임인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7년 8월 취임 100일 기자회견 당시 총 65분의 기자회견 중 5분 간 모두발언을 한 뒤 60분 간 질의응답을 했던 것과 비교하면 모두발언이 꽤 긴 편이었다.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민생경제, 외교안보, 규제완화와 공공기관 개혁 등 각 분야에 걸친 100일간의 성과를 자세하게 설명했다. <br /> <br />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“국정비전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주요 정책부문별로 정부가 해온 일들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며 국민의 궁금증을 해소하려는 의지를 보인 점은 긍정적”이라고 평가했다. 다만 이 교수는 “좀더 구체적으로 지지율 하락의 원인 분석이나 향후 대책 등에 대해 설명할 필요가 있었는데 내용이 원론적 수준에 그쳤다”고 지적했다. <br /> <br /> 김형준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“대통령의 정책 메시지는 첫째로 기조를 밝혀야 하고, 두번째로 그 정책이 가져올 효과를 밝혀야 한다”며 “민간 투자가 활성화될 경우 일자리가 구체적으로 얼마나 늘어날 수 있는지, 부동산 정책을 통해 집값이 어떻게 안정되고 실제 주택 구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 구체적 내용이 없었다”고 지적했다. 김 교수는 또 “대통령 메시지의 잔상효과가 없다. 많은 얘기를 했는데 남는 게 없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중앙일보가 접촉한 전문가들 중엔 “'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95005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