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에서는 자동차 훔치기가 SNS에서 놀이처럼 유행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요 표적이 하필이면 한국 브랜드 차입니다. <br> <br>그 이유를 김성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 남성 두 명이 차량 운전대 부근을 뜯어냅니다. <br> <br> USB플러그를 이용해 차에 시동을 거는데 성공하자 두 사람의 웃음소리가 터져나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열쇠는 필요 없지. 이게 ‘기아보이즈’가 하는 일이지. 미쳤다.“ <br> <br> 미국에서 승용차를 훔치는 모습을 담아 SNS에 자랑하는 놀이가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‘기아보이즈’라는 해시태그가 붙었고, 현대차와 기아차가 범행 대상으로 집중됐습니다. <br> <br> 현대차와 기아차 도난 신고는 미국 전역으로 확산됐고 특히 시카고가 있는 일리노이주 쿡카운티에서는 최근 한달 보름만에 도난신고 642건이 접수됐습니다. <br> <br>1년 전보다 9배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><br> 미니애폴리스 경찰도 올들어 절도 대상 차종들을 공개하며 현대·기아차 도난이 급증한 이유가 범죄놀이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 주로 10대인 절도범들은 지난해 11월 이전에 생산된 차량 가운데 보안 기능인 ‘엔진 이모빌라이저’가 장착되지 않은 차를 주로 노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 버튼 방식의 시동이 아닌 열쇠를 직접 넣어 시동을 거는 차량에 이모빌라이저가 없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일부 피해 차주들은 "설계 결함으로 도난 당했다"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. <br> <br> 우리나라에선 준중형급 이하 차종 대다수 모델까지 보안기능이 기본으로 장착돼 범죄놀이가 쉽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합니다. <br> <br>[김필수 /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] <br>“(한국은) 블랙박스가 보편화 돼 있고 CCTV도 워낙 많아서 도난에 대한 것들이 마땅치 않은 거에요. 미국이랑은 좀 다릅니다. (미국은) 차를 장물로 했을 때 처리 방법도 워낙 다양하고.” <br><br> 현대차와 기아차 미국판매법인은 “당국과 협력해 잠금장치를 지원하고, 도난 방지 시스템을 개발해 고객에게 제공하겠다”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홍승택 <br>영상편집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