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 김여정 담화문에는 이례적인 언급도 있었는데요. <br> <br>북한이 그제 쏜 순항 미사일 발사지점을 우리 군은 이 곳 온천군이라고 분석했는데, 실제로는 안주시였다, 우리 군이 틀렸다고 조롱한 겁니다. <br> <br>우리 군은 기만 전술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전략입니다. <br> <br>김성규 기자가 이어갑니다. <br><br>[기자]<br>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 당일 북한은 순항미사일 2발을 쏘며 무력 도발을 감행했습니다. <br> <br> 한미 군 당국은 미사일의 구체적 제원 등은 밝히지 않고 발사 지점이 평안남도 온천군이라는 것만 알렸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온천이 아닌 평안남도 안주시의 '금성다리'였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 안주는 온천과 약 90㎞로 떨어진 곳으로 서울과 천안 정도 되는 거리입니다.<br> <br> 북한은 이례적으로 오류라고 지적하며 탐지 능력을 조롱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(한미 간) 확고한 대비태세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외우던 사람들이 어째서 발사시간과 지점 하나 제대로 밝히지 못하는지…“ <br> <br>전문가들은 북한이 우리 군의 대북 정보 역량을 낮게 평가하며 한미 정보자산의 맹점을 부각해 논란을 만드려는 의도로 풀이합니다. <br> <br> 추적이 까다로운 순항미사일의 특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. <br> <br>[김동엽 /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(예비역 중령)] <br>"순항미사일 같은 경우엔 공중으로 뜨질 않아요. 처음 (탐지 레이더에) 잡혔을 때 어느 정도 벌써 날아다녔을 가능성이 많고…" <br><br>군 관계자는 "한미 정보당국의 평가는 변동이 없다"며 북측의 주장을 반박할 추가 자료는 내놓지 않을 계획입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이재근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