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적인 판매 호조로 순항하고 있는 현대차가 유독 중국에선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술적으로 앞선 수소 전기차를 무기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구상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대자동차가 중국의 수도 베이징 도심에 처음으로 단독 매장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법인과 합작사인 '베이징현대'가 아닌 '수입차' 현대의 간판을 달았습니다. <br /> <br />올 연말 중국 출시를 앞둔 수소 전기차 넥쏘가 전시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친환경, 신기술을 내세워 중국 시장에서 역전에 시동을 걸겠다는 구상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상반기 창사 이래 최고의 영업 실적을 기록하는 등 세계적으로 잘 나가고 있는 현대차, 유독 중국에서만 제동이 걸린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2분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0% 넘게 떨어졌고, <br /> <br />지난해 실적은 2016년의 3분의 1수준으로 주저 앉았습니다. <br /> <br />표면적 이유는 2017년 '사드' 경제 보복조치지만, <br /> <br />그 이면엔 현지 완성차들의 무서운 추격에 따른 중국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가 깔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벤츠·아우디 등 전통의 독일 명차와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차 사이에 끼어 입지가 좁아진 겁니다. <br /> <br />현대차가 수소 전기차 분야에서 기술적으로 앞서 있다곤 하지만, <br /> <br />중국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받는 토종 업체들과 경쟁은 녹록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테슬라와 비야디를 비롯한 3강 구도에 웨이라이 같은 후발주자들까지 가세해 '춘추전국시대'로 접어든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[인용일 / 현대자동차 브랜드 전략실장 : 저희 현대가 가지고 있는 글로벌로 이미 입증된 기술을 가지고 다시 '현대굴기'를 중국에서 만드는 부분들을 차근차근 준비해 가려고 합니다.] <br /> <br />세계 3대 자동차 시장 가운데 하나인 중국에서 살아남기 위한 현대차의 재도약, <br /> <br />한국 자동차 산업 전체의 도전 과제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82005520578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