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러시아 침략에 맞서며 영웅으로 떠오른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이번엔 국가적 논란에 휩싸여 있습니다.<br> <br>러시아가 침략할 거라는 걸 미리 알고도. 국민들에게는 알리지 않았다는 건데 대체 왜 그랬느냐를 놓고 이해가 간다, 안 간다, 여론이 두 동강 났습니다.<br> <br>염정원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뒤 연일 SNS로 국제 여론전을 펼치고 국민들을 단결시켰던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. <br> <br> 결사항전 의지를 굽히지 않아 처칠과 비교되는 영웅으로 떠올랐습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 (지난2월)] <br>"저는 아직 여기에 있습니다. 우리는 무기를 내려놓지 않을 것이며 조국을 지킬 것입니다." <br> <br> 그러나 최근 외신과의 인터뷰로 최대 위기를 맞았습니다. <br><br> 워싱턴포스트는 그가 '경제적 손실'을 이유로 러시아의 침공 징후를 국민들에게 미리 알리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 미리 알렸다면 지난해 10월부터 매달 9조 3천억 원 정도를 잃었을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 거센 저항으로 키이우를 지킬 수 있었다며 자신의 결정이 옳았다는 주장도 펼쳤습니다. <br><br> 국내 언론에서 "'매달 70억 달러'와 수많은 희생을 비교하게 됐다"는 쓴소리와 함께 불쾌하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.<br> <br> 실제 침공 직전 현지 분위기에서도 큰 위기감이 느껴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박병범 / 우크라이나 교민 (지난 2월)] <br>"현지인들 입장에서 담담합니다. 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고 또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고…담담할 뿐이고요…" <br> <br> 전쟁 중인 젤렌스키 부부가 잡지 표지모델로 화려하게 등장한 모습을 놓고도 논란이 컸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