은행 예대금리차로 ’이자 장사’ 비판 이어져 <br />금융당국, 내일부터 은행별 예대금리차 비교 공시 <br />공시 앞두고 은행들 예·적금 금리 잇달아 인상 <br />코픽스 올라 대출금리 추가 인상 등 부작용 우려<br /><br /> <br />은행의 과도한 이자 장사를 막기 위한 예대 금리차 공시가 내일(22일)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은행의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 차이를 한 곳에서 비교해볼 수 있도록 해 금리 경쟁을 촉진한다는 취지지만,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눈에 띄게 오르는 대출 금리에 비해 예금 금리가 오르는 폭은 크지 않아 은행이 '예대 금리차'로 폭리를 취한다는 비판은 꾸준히 이어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은행별 예대 금리차를 한 곳에서 비교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고, <br /> <br />이번 주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첫 공시가 이뤄집니다. <br /> <br />[김연준 / 금융위원회 은행과장 (지난달) : 소비자들이 자기가 필요로 하는 금리 정보를 충분하고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맞는 은행을 잘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….] <br /> <br />예대 금리차는 평균 대출 금리에서 저축성 수신 금리를 뺀 값입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전달 신규 취급액을 기준으로 매달 정보가 공개됩니다. <br /> <br />대출 금리는 소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신용평가사의 신용 점수를 50점 단위로 나눠 9단계로 공시됩니다. <br /> <br />예금 금리는 기본 금리와 최고 우대 금리에 전달 평균 금리까지 공시됩니다. <br /> <br />단순히 평균 예대 금리차만 비교하면 중·저 신용자 비중이 높은 인터넷 은행에 불리할 수 있는 만큼, 신용 점수 구간별 예대 금리차와 평균 신용 점수도 함께 게시됩니다. <br /> <br />공시를 코앞에 두고 은행권에선 벌써부터 예·적금 금리 인상 행렬이 펼쳐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시중 은행이 정기 예금 금리를 일제히 올렸고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도 예·적금 금리를 각각 최대 0.8%포인트, 0.6%포인트 인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예대 금리차가 가장 큰 은행이라는 오명을 피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이효섭 /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대출금리 경쟁이 가속화해서 대출금리가 낮아지는 금융기관으로 대출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요. 대출금리가 조금 더 인하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….] <br /> <br />다만 예대 금리차를 줄이기 위해 은행이 수신 금리를 올리면 변동형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'코픽스'가 올라 대출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82117113306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