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광연 앵커,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강성웅 국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시 [YTN 뉴스Q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리나라가 중국과 수교를 한 지 내일이면 꼭 30주년 됩니다. 양국이 서울과 베이징에서 동시에 기념행사를 엽니다. 지난 30년 동안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 됐고,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, 사드 문제로 심각한 갈등을 겪기 시작한 한중 관계는 발전이냐 후퇴냐의 기로에 섰습니다. 국제부 강성웅 기자와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발전이냐 후퇴냐 기로에서 한중 수교 30년을 맞았습니다. 1992년인데 그때 한중 수교 맺게 된 과정이 궁금하네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굉장히 걱정이었죠. 사실 북한이 가장 반대를 했기 때문입니다. 북한 그 당시 김일성이 직접 등소평에게 가서 반대한다, 이런 의견을 많이 냈다고 하고요. <br /> <br />기사가 나옵니다마는 북한으로서는 가장 큰 어떻게 보면 우방을 잃은 거고요. 중국은 그 우방을 버리고 한국의 손을 잡은 겁니다.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입장에서는 그 당시 북방외교라는 걸 추진했는데요. <br /> <br />북방외교라는 것은 경제적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면서 동시에 중국이나 러시아, 동구권의 구 공산권 국가와 손을 잡음으로써 한반도 평화에 도움을 받아보자. 이런 차원이었죠. 이것이 성공한 겁니다. 사실 북한은 실패를 했고. 그래서 북한이 이때부터 자립 노선을 펴왔다, 이런 얘기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국전쟁 당시만 해도 서로 총구를 겨누던 사이인데 이제는 최대교역국이 됐습니다. 그만큼 중국이라는 나라가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국가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겠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최근에 감정이 좀 안 좋아지고 갈등이 많다 보니까 중국을 좀 경시하는 경향도 있는 것 같습니다. 그러나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이고 우리나라 무역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홍콩을 합치면 더 된다는 통계도 있습니다마는 그렇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하게 봐야 되는 건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3015억 달러인데 64억이었던 수교 당시와 비교하면 47배가 올랐다고 하고요. 중국의 입장에서 한국은 3대 교역국입니다. 그런데 우리나라보다 물론 비중은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. 대략 6% 정도가 되는데요. <br /> <br />우리나라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성웅 (swk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82317000550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