범정부 구두개입에도…환율, 금융위기후 최고점 찍어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연일 치솟는 환율이 마침내 글로벌 금융위기 때던 2009년 이후 최고점을 찍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까지 환율 안정을 위해 '리스크 관리'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는데요.<br /><br />기업들의 부담도 불가피할 전망이고 고물가 잡기는 더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원·달러 환율은 개장부터 또 요동을 쳤습니다.<br /><br />하루 전 13년 4개월 만에 1,340원을 넘은데 이어 장 초반 1,345.2원까지 치솟으며 연고점을 갈아치운 겁니다.<br /><br />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국이 긴축 고삐를 늦추지 않을 것이란 전망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겹친 탓이었습니다.<br /><br />심상찮은 환율에 윤석열 대통령은 출근길 문답에서 '환율 리스크 관리'를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"지금 우리 경제의 대외적인 재무건전성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, 이것이 수입 물가를 상승시키고 국제수지를 악화해서 우리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가 있기 때문에…"<br /><br />외환당국도 "투기적 요인이 있는지 면밀히 점검하겠다"며 두 달 만에 구두 개입에 나섰고 "변동성을 악용하는 불법,불공정 행위를 엄단하겠다"는 검찰 출신 금융감독원장 발언까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구두개입 뒤 1,337원까지 밀렸던 환율은 다시 반등하며 5.7원 오른 1,345.5원에 마감됐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4월28일 1,356.80원 이후 최고치입니다.<br /><br />기록적인 고환율로 수익성에 타격을 입거나 투자가 어려워지는 기업도 속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장 달러로 유류비와 항공기 리스료를 내는 항공업계는 환율이 10원만 올라도 외화부채가 300억원 가까이 불어납니다.<br /><br />해외에 투자 계획을 세웠던 기업들은 환율 부담에 재고하는 상황.<br /><br /> "인플레이션 지속에 따른 고환율이 경상수지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있어서 전반적 국가경제 부담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고요."<br /><br />고물가에 이어 고환율까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압박도 더욱 커지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환율 #기준금리 #구두개입 #리스크관리 #외화부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