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양국 MZ 세대도 커진 감정의 골…“중, 북·일보다 비호감”

2022-08-24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국의 젊은이들, MZ세대들은 중국에 대한 비호감도가 일본 그리고, 북한보다 더 높습니다. <br> <br>중국 MZ세대들은 한국을 어떻게 보는지 염정원 기자가 비교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최근 20~30대, MZ세대를 상대로 한 여론조사에서 중국에 대한 평균 호감도는 2.73점으로 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북한과 일본 보다 비호감 국가로 지목된 겁니다. <br> <br>김치에 이은 한복 공정, 홍콩·신장 위구르에서의 인권침해 등에 이어 사드 배치에 대한 경제 보복 등이 주요 비호감 이유였습니다. <br><br>[신다인 / 충남 서산시] <br>"중국의 김치가 따로 있잖아요. 한국 김치 따로 있고. 서로 다른 건데 좀 서로의 진짜 문화를 인정해줬으면 좋겠어요." <br><br>[오택민 / 부산 기장군] <br>"많이 싸우려고 해서 자원 전쟁 같은 걸 지금 하려고 하잖아요. 자꾸 힘으로 누르는 기분이 들어요." <br> <br>[안지은 / 서울시 관악구] <br>"좀 고집이 센… 좀 양보하고 다른 나라를 존중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반면 중국의 MZ 세대들은 반한·반중 정서를 대수롭지 않게 여기는 경향이 강했습니다. <br> <br>[초 모 / 베이징 시민] <br>"이런 일은 국가의 일이니 중·한이 서로 헐뜯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." <br> <br>[케이 리 / 베이징 시민] <br>"반한 정서는 아마 극단의 소수일 것입니다. 그런 부류는 무지에서 비롯됐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김치·한복 등의 기원을 두고도 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 드물었습니다. <br> <br>[초 모 / 베이징 시민] <br>"김치를 전에 본 적이 있는데, 중국 문화일 것 같은데, 한복은 한국 문화이고." <br><br>[류 모 / 베이징 시민] <br>"(한복과 김치의 원조는) 중국일 것 같은데…" <br> <br>중국 젊은이들의 민족주의 성향이 두드러지는 상황에서 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 한국 젊은층에 확산될 경우 양국간 인식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 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승훈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