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질병과 생활고에 시달리다 생을 마감한 수원 세 모녀, 마지막 가는 길도 쓸쓸했습니다. <br> <br>시신을 인수하겠다는 가족이 없어 무연고 장례가 치러지고 있는데요. <br> <br>세 모녀처럼 행방을 알 수 없는 취약계층이 1200명 정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장하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텅 빈 장례식장에 영정 사진 없이 위폐 세 개만 놓여있습니다. <br> <br>지병과 생활고를 겪다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의 빈소입니다. <br> <br>먼 친척도 시신 인수를 거부해 3일간 무연고자 장례를 치른 후 화장됩니다. <br> <br>세 모녀는 2020년 2월 이사 후 전입신고를 하지 않은 채 고립된 생활을 이어왔습니다. <br> <br>20여년 전 아버지의 사업 실패, 그리고 2년 전 아버지와 오빠의 죽음 이후 세상과의 단절은 더 심해졌습니다. <br> <br>[세 모녀 등록 주소지 거주인] <br>"(수급 신청하라고 해도) 엄마가 안 한댔어요. 빚쟁이들이 하도 많으니까 그런 거 하면 골치 아프니까 안 한 것 같아." <br> <br>문제는 '세 모녀'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위기의 서민들이 적지 않다는 겁니다. <br><br>건강보험료 체납이나 단전, 단수 등 34종의 위기정보 가운데 하나라도 해당하는 544만 명. <br> <br>여러 개가 겹치는 고위험군도 20만 5천700여 명이나 됩니다.<br> <br>그런데 이 중 1177명은 주소지에 안 살고, 전화도 받지 않아 세 모녀처럼 복지 혜택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. <br> <br>위기의 가구는 많지만, 이를 찾아낼 담당자는 태부족입니다. <br> <br>[화성시 관계자] <br>"(위기 가구 발굴·조사)업무요? 저는 저 혼자예요. 명단 추출이나 읍면동에서 문의하는 사안 다 하는 거고. (현장) 나가는 거는 읍면동에서 나가요." <br> <br>정부는 연락이 닿지 않는 위기가구에 대해 경찰이 실종자를 찾듯이 소재를 파악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개인정보 열람 등의 문제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박재덕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장하얀 기자 jwhit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