잇단 장애인 화재 사망 사고…"잊을 만하면 반복" <br />응급상황 통보 장비 보급…중증장애인만 대상 <br />"설비는 마련된 만큼 설치와 보급에 집중해야" <br />"장애인 거주 층수 우선 배정 등 규정 개선 필요"<br /><br /> <br />어제 새벽, 서울 역촌동에 있는 다세대주택에서 불이 나 40대 시각장애인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재난 상황에 취약한 장애인이 화재 등으로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반복되는 만큼 예방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자정을 조금 넘은 시간 서울 역촌동에 있는 다세대주택에서 불이 났다는 신고가 소방서에 접수됐습니다. <br /> <br />불은 1시간 만에 꺼졌지만 3층에 살던 40대 시각장애인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불이 난 뒤 현관을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[은평소방서 관계자 : 아직도 현장에서 지금 조사 중에 계십니다. 안 보여서 못 빠져나온 건지….] <br /> <br />이처럼 장애인이 화재로 목숨을 잃은 건 하루 이틀 일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6월에는 전북 익산에 있는 아파트에서 불이 나 70대 지체장애인이 숨졌고, 지난 재작년 12월 서울 장안동 아파트 화재 당시엔 10대 발달장애인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숨을 거뒀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소방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주거지에서 화재로 숨진 215명 가운데 정신·지체 장애가 있는 경우는 16명으로 전체의 7% 정도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인구에서 등록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중보다도 더 높은 수치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응급상황 발생 시 소방서 등에 바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장비 보급에 나섰지만 대상이 중증장애인으로 한정돼 한계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혼자 거동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이나 발달장애인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필요한 도구나 설비가 이미 마련돼 있는 만큼 중요한 건 설치율과 보급률을 높이는 거라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공하성 /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: 설치 안 된 곳들은 좀 설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면 피난 약자가 대피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봅니다.] <br /> <br />장애인 거주 층수를 달리하는 등 건축물 관련 규정을 개선해야 희생을 줄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박재성 /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: 공간적인, 그분들이 거주하게 되면 층수에 대한 제한을 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. 공공 주거 시설부터라도 먼저 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철희 (kchee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82500210167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