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지도 벌써 보름가량 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은 주민들 일부는 아직도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어서 다가오는 추석이 걱정이라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 김다현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개포동 구룡마을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어디 집 안에 들어간 것 같은데 현장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저는 지금 구룡마을 이재민의 집 안에 잠시 양해를 구하고 들어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시는 것처럼 바닥은 온통 진흙으로 가득합니다. <br /> <br />전기밥솥이나 서랍 같은 생활용품들도 완전히 망가져서 거실에 나뒹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 사는 70대 주민이 매일 아침부터 오후 늦게까지 정리를 하고 있지만 복구되려면 시간이 한참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구룡마을은 지난 수해로 무려 84가구가 이재민으로 분류될 만큼 피해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재민 가운데 3분의 1은 아직 복구 작업이 끝나지 않아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보금자리를 되찾지 못한 주민 40여 명은 인근 호텔에 머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애초 지난 13일부터 일주일 정도만 머물기로 했는데, 복구 작업이 길어지자 거주 기간을 늘린 겁니다. <br /> <br />이재민들은 호텔에선 잠만 자고 아침 7시부터 오후 늦은 시간까지 온종일 집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 고령이라 친척이나 지인, 아니면 공사 업체를 불러 도움을 받아야 하는 처지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 아침 7시 반부터 이곳에서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는 공사 관계자는 작업이 마무리되려면 적어도 열흘은 넘게 걸린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성인 무릎 높이까지 물이 차올라 전기 배선이 망가진 건 물론이고, 물살이 강했던 탓에 벽까지 무너진 경우가 수두룩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거의 터만 남고 완전히 무너진 집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교적 수해 피해가 덜한 주민들은 이웃들을 위해 매일 점심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주민들뿐 아니라 종교계와 자원봉사 단체까지 나서서 손을 보태고 있지만 피해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 추석 전까지 복구를 마치긴 쉽지 않은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이재민들은 명절조차 집에서 보내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에 근심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서울 개포동 구룡마을에서 YTN 김다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다현 (dasam080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82512034967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