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금리는 물가 잡기 위해 올린 거죠.<br> <br>그런데 금리 오르면 씀씀이가 줄어듭니다.. <br> <br>식당 주인에게 직격탄인 이유죠. <br> <br>물가 올라서 재료값은 오르고, 금리가 오르니 대출 이자 많이 나가는데, 사람들이 외식을 줄이니, 들어오는 돈은 줄어드는 거죠. <br> <br>삼중고에 시달리는 자영업자, 강유현 기자가 만났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에서 닭전골 음식점을 운영하는 황미경 씨. <br> <br>코로나19 재확산에 고물가, 고금리로 사람들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최근 가게 매출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풀린 지난 5월의 절반으로 줄었습니다. <br> <br>[황미경 / 닭전골 음식점 사장 ] <br>"배달은 거의 한 80%가 줄었다고 봐야되고 홀 손님도 굉장히 많이 줄었죠. 적자를 보고 있다고 봐야죠." <br> <br>2년 전 코로나 초기에 받았던 소상공인 지원 대출의 금리는 연 2.2%에서 올해 3월 3.6%, 6월엔 4.2%로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. <br> <br>[황미경 / 닭전골 음식점 사장] <br>"대출금 나가는 게 250만 원 정도 됐었거든요. 이번 달에는 270만 원 정도 나가더라고요. (정부가) 코로나 대출이 엄청 진짜 우리 자영업자들한테 도움 많이 되는 것처럼 했잖아요. 그러면 변동되는 금리를 (고정금리로) 잡아주던가." <br><br>코로나 시기 자영업자들이 빚으로 버티면서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2019년 말 685조 원에서 올해 3월 말 960조 원 넘게 불어난 상황.<br><br>특히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빚을 진 다중채무자는 38만 명에 달합니다. <br><br>2019년 말보다 192% 급증했습니다.<br> <br>폐업을 하자니 개인사업자 명목으로 받은 대출을 바로 갚아야 해 개점휴업 상태인 자영업자들도 상당수입니다. <br> <br>[이정희 /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] <br>"인건비라든가 공공요금, 식재료 이런 고비용 구조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정책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" <br> <br>다음달 소상공인의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고 원리금 상환을 유예해준 지원책이 종료되는데 부실 폭탄을 막는 정부의 근본 처방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유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박희현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강유현 기자 yhka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