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전 내 핵연료 찌꺼기 제거…11년째 시작 못 해 <br />여전히 치명적인 방사선량…폐로 작업 기약 없어 <br />日, 후쿠시마 사고 후 원전 신·증설 안 해 <br />기시다 "차세대 원전 검토"…에너지 정책 전환<br /><br /> <br />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을 새로 짓지 않았던 일본이 차세대 원전 건설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전력난으로 안정적인 공급원이 필요하다는 생각이지만 원전에 대한 국민 불안은 여전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 이경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1년 수소 폭발이 일어난 후쿠시마 제1원전. <br /> <br />사고 후 11년이 지났지만 원자로에 남은 핵연료 찌꺼기를 제거하는 작업은 아직 시작도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선 때문에 로봇팔로 꺼내야 하는데 기술 개발이 늦어 폐로 작업은 언제 끝날지 알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사고 이후 일본 정부는 원전을 새로 짓거나 증설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 속에 차세대 원전 건설을 검토하겠다는 기시다 총리 발언은 에너지 정책의 일대 전환을 예고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[기시다 후미오 / 일본 총리 : 차세대 혁신형 원자로 개발·건설 등 앞으로 정치 판단이 필요한 항목이 있습니다. 연말에 구체적인 결론을 낼 수 있도록 검토에 속도를 내길 바랍니다.] <br /> <br />후쿠시마 사고 후 일본 내 원자로 33기는 일제히 멈춰 섰다 현재 10기만 가동 중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여기에 더해 사용 허가를 마친 7기를 내년 여름 이후 다시 가동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전기 요금이 1년 새 30%나 올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마쓰노 히로카즈 / 일본 관방장관 : 최근 에너지를 둘러싼 국내외 정세 변화를 놓고 볼 때 국민 생활과 산업의 기반이 되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체제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건국 이래 최악의 재난을 경험한 일본 국민들은 원전 신설과 재가동에 불안을 감추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시민 : 원자력은 쓰지 않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. 다른 에너지 조달 방법이 얼마든지 있지 않나요? (원전을 늘리는 것은) 너무 안이한 방법입니다.] <br /> <br />[시민 : 원전은 가동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. 풍력 발전 같은 것으로도 좋다고 생각해요.] <br /> <br />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을 이유로 원전에 찬성하는 여론도 조금씩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시민 : 화석연료만으로는 공급이 어려운 점도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경아 (ka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82523241213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