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환율이 오르면 수입할 때, 타격이 큽니다.<br> <br>원화 가치가 떨어지니 같은 가격이라도 더 많은 돈을 내야 하죠. <br> <br>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부담은 더 커졌고, 당장 10월부터 가스, 전기 요금이 동반 상승할 걸로 보입니다.<br> <br>날씨는 점점 추워질텐데, 국민 부담이 걱정입니다. <br> <br>최승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5월과 7월, 두 차례 가격을 올렸던 도시가스 요금. <br> <br>오는 10월에도 인상이 예고돼 있는데 당초 전망보다 인상 폭이 커집니다. <br> <br>현재 가스공사 미수금은 5조 원으로 소폭 인상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입니다. <br><br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지난달 LNG 현물 수입 가격은 톤당 1천34.75달러로 지난해보다 무려 107%나 뛴 상황. <br> <br>여기다 우리나라 LNG 수입의 20%를 차지하는 호주마저 수출 규제에 나서면서 가격은 천정부지 더 치솟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정부와 가스공사는 안 그래도 비싼데 환율마저 도와주지 않다 보니 요금 대폭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문제는 10월에 전기요금도 똑같은 이유로 덩달아 오른다는 겁니다. <br> <br>상반기 물가 상승을 자극했던 가스와 전기 같은 공공요금발 인플레이션이 다시 재현될 수 있는 겁니다. <br> <br>자영업자들은 한숨만 나옵니다. <br> <br>[식당 주인] <br>"농산물도 올라가고 수산물도 다 올라가는데 거기에 가스 또 전기요금까지 올라가면 아무래도 부담이 되죠. 난방도 해야 되고." <br> <br>문제는 지금이 정점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> <br>날씨가 추워지면 난방 수요까지 더해져 에너지 가격은 지금보다 더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겨울철 취약 계층 부담이 커지는 건 물론 국민 경제 주름살도 더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승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최승연 기자 suu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