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제북송·서해피격 압수물 분석…정부 의사결정 재구성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수사팀이 압수물 분석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자 자택과 사무실에서 확보한 자료의 디지털 증거분석을 진행 중인데요.<br /><br />검찰은 탈북어민 북송에 관한 대통령기록물을 확보해 정부의 의사결정 과정을 재구성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장효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피격 공무원 월북 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압수물 분석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는 최근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의 비서실장이었던 A씨의 참관 아래 이달 중순 확보한 압수물의 포렌식 작업을 진행했습니다.<br /><br />박 전 원장은 이대준 씨가 자진 월북한 것이 아니라 표류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국정원 내부 보고서가 작성되자, 측근인 A씨를 통해 실무진에게 삭제를 지시한 의혹을 받습니다.<br /><br />박 전 원장은 보고서를 삭제한 적 없고, 설령 삭제하더라도 국정원 메인 서버에 기록이 남아 '삭제' 개념이 성립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검찰은 국정원 내부 문서가 임의로 삭제됐다면 공용전자기록 손상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고 보는 만큼, 포렌식 결과를 토대로 삭제 지시 여부를 확인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탈북어민 강제북송 의혹을 수사 중인 공공수사3부는 일주일 간의 대통령기록관 압수수색을 1차로 마치고, 당시 청와대에서 생성된 문건 분석에 한창입니다.<br /><br />검찰은 2019년 11월 탈북 어민들이 발견돼 북송되기까지 기간에 만들어진 문건 19건의 목록을 검토한 뒤, 사건 관련성을 기준으로 일부는 사본 확보를, 일부는 열람을 진행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토대로 당시 정부의 의사결정 과정을 재구성 중인데, 조사 내용에 따라 추가 압수수색에 나설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통상 자료 분석 내용을 토대로 관련자 조사가 이뤄지는 것을 고려하면, 절차를 마치는대로 박 전 원장 등 고위급 관계자를 순차적으로 불러 확인에 나설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장효인입니다. (hijang@yna.co.kr)<br /><br />#검찰 #탈북어민 #대통령기록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