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소련을 해체한 고르바초프와 달리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옛 소련 부활을 꿈꾸며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입니다. <br> <br>각종 제재에도 버틸 수 있는 러시아의 강력한 무기는 가스죠, 프랑스와 독일로 향하는 가스관을 잠가버렸습니다. <br> <br>권갑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가스프롬이 프랑스에 가스 공급을 중단한다고 현지시각 어제 통보했습니다. <br> <br>가스프롬은 프랑스 에너지 기업 엔지가 7월 가스 대금을 계약대로 루블화로 치르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불과 몇 시간 전까지만 해도 가스 공급량 줄이겠다고 했지만, 하루도 안 돼 공급 전면 중단이라는 초강수를 둔 겁니다. <br> <br>가가프롬은 현지시각 오늘 독일 수출용 가스관 노르트스트림1도 걸어 잠갔습니다. <br> <br>다음 달 2일까지 시설 정비를 이유로 공급을 중단한 것인데, 사흘 뒤 공급이 재개될진 두고 볼 일입니다. <br> <br>[클라우스 뮬러 / 독일 연방네트워크청장] <br>연방네트워크청의 입장은 바뀌지 않습니다. 러시아산 가스가 계속 들어오길 바랍니다. <br> <br>에너지를 거머쥔 러시아를 상대로 한 경제 제재 효과에 대한 의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><br>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올 들어 러시아가 에너지 자원으로 약 130조 원을 벌었고, 이 중 100조 원은 석유에서 나왔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다른 나라 석유와 섞어서 팔거나 수입국을 중동과 아시아 국가로 다변화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 수입량이 없다시피 했던 인도가 지금은 가격 인하 효과를 노리고 하루 1백만 배럴 가까운 석유를 수입하는 점도 크게 작용했습니다. <br> <br>[드미트리 페스코프 / 크렘린 대변인(현지시각 어제)] <br>제재로 인한 기술적 문제를 제외하면 공급을 방해하는 요소는 없다고 장담합니다. <br> <br>월스트리트저널은 제재 효과는 떨어지지만 유가 상승을 억제해 서방에도 도움이 되는 면이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권갑구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