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냉전 마침표’ 고르바초프 91세로 별세

2022-08-31 14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과 소련 미소 냉전 시대를 종식시킨 주역이죠. <br> <br>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향년 91세로 사망했습니다. <br> <br>전 세계에 참 많은 영향을 미쳤죠. <br> <br>개혁 개방 정책으로 사회주의 러시아를 변화시켰고, 소련을 해체해 많은 국가들에 자유를 선사했습니다. <br> <br>우리와도 수교를 맺은 인연이 깊죠. <br> <br>마지막까지 우크라이나 전쟁을 반대한 평화주의자의 삶을 염정원 기자가 돌아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[로널드 레이건 / 미국 전 대통령(1987년 베를린 방문 당시)] <br>"고르바초프 서기장. 당신이 평화를 바란다면 이 장벽 앞으로 오세요…고르바초프 서기장, 이 장벽을 허무세요." <br> <br>[현장음] <br>(환호성) <br> <br> 레이건 당시 미국 대통령의 이런 요청에 긍정적 침묵으로 화답한 고르바초프 덕분에 독일은 통일될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 2차 세계대전 이후 반세기 가까이 이어졌던 동서 냉전체제는 급격히 해체됐습니다. <br><br> 1985년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올라 개혁과 개방.<br> <br>러시아어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강력히 추진한 고르바초프가 주역이었습니다.<br> <br> 1987년, 당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체결한 역사적인 핵군축 합의 등으로 노벨평화상도 수상했습니다. <br> <br>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뒤 몰타에서 가진 미소 정상회담에선 냉전 종식을 공식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 민주화 물결이 소련 위성국들에게 불어닥쳤을 때 무력을 사용하지 않은 모습은 이전 서기장들과 달랐습니다. <br> <br>[미하일 고르바초프 / 전 소련 대통령 (1987년 11월)] <br>'더 많은 진취성, 민주주의, 조직과 규율이 필요합니다. 그러면 우리는 '페레스트로이카'를 전속력으로 끌어올리고 사회주의 발전에 새로운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." <br> <br> 노태우 전 대통령의 북방정책에 호응해 1990년 9월 우리나라와 전격 수교가 맺어졌고 유엔 가입 지지 선언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보수강경파의 쿠데타로 급격하게 권력 기반을 잃었고 소련도 공식 해체됐습니다. <br> <br>[미하일 고르바초프 / 전 소련 대통령(1991년 12월)] <br>"독립국가연합의 결성으로 나는 소련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끝낸다" <br> <br> 정치적 재기에 실패한 그는 설립한 재단을 통해 학술과 강연 활동을 이어가며 지난 3월엔 푸틴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틀 만에 평화 협상을 촉구하는 성명도 냈습니다. <br> <br> 20세기 말 현대사 격랑의 중심에 섰던 그는 모스크바 외곽 전원주택에서 여생을 보내다 91살을 일기로 눈을 감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이재근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