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에 반대하며 전국위원회 소집을 거부하던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이 31일 “전국위의장직을 내려놓겠다”고 선언했다. 서 의원의 사퇴로 향후 상임전국위 및 전국위 소집은 부의장인 윤두현 의원이 맡는다. <br /> <br /> 서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“저는 일관되게 비대위 체제로 가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해왔다”며 “소신을 지키면서도 당에 불편을 주지 않거나, 지도부가 가는 방향에 걸림돌이 안 될 수 있는 방향이 있을까 고심한 끝에 직을 내려놓기로 했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<br /> 하지만 서 의원은 30일 의원총회에서 ‘당 비상상황’을 ‘선출직 최고위원 및 청년최고위원 중 4인 이상 사퇴’ 등으로 구체화한 당헌 개정안 추인한 것을 두고는 “너무 작위적이라 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 의심이 있다”며 “가처분이 또 인용되면 당은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질 것”이라고 비판을 굽히지 않았다. 이어 “새 원내대표를 뽑아 새 지도부를 구성하고 직무대행체제로 가는 것이 가장 쉽고 안정적인 방법”이라고 거듭 주장했다. <br /> <br /> 새 비대위가 출범하려면 당헌 개정안 의결을 위한 전국위, 비대위원장 임명안 의결을 위한 전국위를 따로 열어야 한다. 추석 전 새 비대위 출범을 공언했던 여당 지도부 입장에서 서 의원의 반발은 예상치 못한 난관이었다. 상임전국위의장이기도 한 서 의원은 위원 4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더라도 회의를 열지 않겠다고 밝히는 등 한동안 강경하게 버텼다. <br /> <br /> 그랬던 서 의원이 스스로 물러나면서 전국위 개최를 위한 급한 불은 껐지만, 당내 ‘새 비대위 비토론’은 사그라지지 않았다는 평가다. 또 새 비대위의 정당성은 더 큰 타격을 입게 됐다.&nbs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98528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