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무역적자가 100억 달러에 육박하며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66년 만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대중국 무역수지는 한중 수교 이후 처음으로 4개월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원자잿값 급등으로 수입은 늘었지만, 반도체 같은 효자 품목의 수출이 줄어든 게 컸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8월 무역수지 적자는 94억7천만 달러로, 해당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지난 1956년 이후 6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지난 4월 이후 다섯 달째 적자 행진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5개월 연속 적자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수출은 지난해보다 6.6% 증가한 566억7천만 달러로 2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지만, 한 자릿수 증가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자동차와 2차전지, 철강, 석유제품 등이 호조를 보여 역대 8월 중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수출 효자 품목인 반도체는 1년 전과 비교해 7.8% 줄어 26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입은 28.2% 늘어난 661억5천만 달러에 달해 역시 역대 8월 중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무역수지가 악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3대 에너지원인 원유와 가스, 석탄 수입액만 지난해의 2배인 185억2천만 달러로, 전체 수입액의 28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이 계속되면 연간 누적 무역적자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[문동민 /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: 올해 연간 기준으로 남은 기간에 흑자를 봐서 전체적으로 흑자로 전환되겠다는 것을 바라는 것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. 연간으로는 적자가 날 것이란 게 일반적인 예상이고요.] <br /> <br />우리나라 수출의 1/4을 차지하는 중국에 대한 무역 적자는 3억8천만 달러로, 넉 달 연속 적자였습니다. <br /> <br />4개월 연속 적자는 한중 수교 이후 30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올해 상반기 무역액 순위에서 이탈리아와 홍콩을 제치고 역대 가장 높은 7위를 기록한 건 위안으로 삼을 만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무역적자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수출경쟁력 강화 전략을 범정부적으로 추진하는 등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90118173498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