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 엄청난 크기의 태풍이 한반도로 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발생 위치와 이동 경로가 보통 태풍과 달라서, 예측이 어려운만큼 각별히 대비가 필요합니다. <br><br>김태욱 기자가 분석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11호 태풍 '힌남노'는 현재 대만 동쪽 해상에 머물러 있습니다. <br> <br>중심기압이 915헥토파스칼로 가장 강한 단계인 '초강력'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바다의 온도가 높아 엄청난 열과 수증기로 몸집을 키우고 있는 겁니다.<br><br>이건 우주정거장에서 보이는 태풍의 모습인데요. <br> <br>얼마나 위력이 센지 태풍의 눈이 또렷하게 보입니다.<br> <br>우리나라 면적의 2~3배 크기입니다. <br> <br>'힌남노'는 특이한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. <br> <br>우선 발생 위치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거대한 태풍은 북위 25도 아래에서 발생했습니다.<br> <br>그 위쪽은 해수의 온도 낮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그런데 '힌남노'는 북위 27도에서 생겼습니다.<br> <br>서태평양 바닷물이 더 뜨거워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겁니다. <br> <br>이동 경로도 서쪽으로 가다가 세력을 키워 남쪽으로 내려가기까지 합니다.<br> <br>과거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줬던 태풍의 경로인데요,<br> <br>보통은 완만하게 꺾이거나 그냥 북상하는데, 힌남노 만은 확실히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. <br> <br>태풍은 오는 5일쯤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워낙 변수가 많이 남아 있지만 기상청은 5일쯤 제주 남쪽에서 접근해 남해안을 통과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> <br>특히 2016년 큰 피해를 줬던 태풍 '차바'와 비슷할 것이란 예상이 나옵니다. <br> <br>당시 제주 산간지역에는 초속 59m의 엄청난 바람과 600mm 이상의 많은 비를 뿌렸습니다. <br> <br>태풍은 아직 제주 남쪽 1000km 밖에 있지만 간접적인 영향은 이미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제주도는 내일 밤부터 많은 비와 강한 바람이 불기 시작할 것으로 예보됐습니다. <br> <br>아울러 기상청은 폭풍해일이나 하천 범람에 따른 저지대 침수에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.<br> <br>연출: 황진선 박혜연 P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