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상에서 세력을 키운 역대 최강 태풍 '힌남노'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태풍은 다음 주 화요일인 6일, 제주도 동쪽 해상 지나 경남 해안에 상륙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제주도와 남해안은 물론 중부 내륙까지 비바람이 강하게 불겠고, 폭풍 해일과 침수, 하천 범람 위험도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타이완 동쪽 해상에서 세력을 재정비한 태풍 '힌남노'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사람이 걷는 정도의 느린 속도로 이동 중이지만 주말 사이 속도는 조금씩 빨라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후 태풍은 북상하는 과정에서 2개의 큰 기단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태풍 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중국에서 발달하는 티베트 고기압인데, 이 두 기단 사이에 밀려 태풍의 길목이 한반도 그것도 경남 해안 부근으로 열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첫 태풍 상륙으로 태풍의 강도는 한반도에 상륙할 때까지도 강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우진규/ 기상청 예보분석관 : 태풍 영향은 (이전과)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. 태풍의 경로가 대한해협을 통과하는 시나리오에서 경남 남해안에 상륙하는 시나리오로 바뀌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태풍의 최대 고비는 다음 주 화요일 새벽부터 낮 사이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태풍은 6일인 다음 주 화요일 새벽 제주도 서귀포 동쪽 해상을 지나 화요일 아침 거제 부근 경남 해안에 상륙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경남 해안을 지날 전망인데, 부산의 경우 태풍의 오른쪽 위험 반원 안에 들고, 울산도 태풍의 길목에 들면서 비바람이 강하게 불 것으로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제주도와 남해안은 태풍 북상과 만조 시각이 겹치는 시기에 저지대 침수와 폭풍 해일, 하천 범람 등의 피해가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[우진규 /기상청 예보분석관 :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해수면이 높아지는 시점에서는 월파 뿐 아니라 물의 역류, 폭풍 해일처럼 태풍 주변에서의 높은 해수가 바로 해안가로 밀려올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또 제주도 남해안은 물론 내륙에서도 기록적인 호우와 함께 태풍 매미의 초속 60m 강풍 기록을 능가하는 돌풍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태풍 북상 전부터 역대급 비바람과 큰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산사태와 하천 범람 강풍 피해 등에 철저히 대비 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정혜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2090221542741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