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'심심한 사과'란 표현이 온라인에서 큰 화제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청소년들이 동영상에 집중하고, 책은 적게 읽어 문해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거셌는데, 전문가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?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심심한 사과는 마음 깊이 사과하는 걸까, 재미없이 지루하게 또는 싱겁게 사과하는 걸까. <br /> <br />공식적으로는 꽤 자주 쓰는 말이지만 아이들에겐 사어에 가까운 낯선 말이기도 한 심심한 사과를 비롯해 <br /> <br />금일, 사흘, 서류 수리, 고지식 등 단어들은 종종 비슷한 일로 화제가 됩니다. <br /> <br />청소년들이 문해력,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커진 가운데, 교육부는 2022 개정 교과과정에서 초등학교 국어 시간을 34시간 늘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청소년 문해력이 낮다는 비판은 사실이 아니란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실질문맹률이 75%란 비판에 인용되는 자료는 2001년 성인 대상 조사로, 그것도 문서 문해력만 문제가 되기에 시점과 근거가 맞지 않고 <br /> <br />오히려 2018년 OECD 조사에선 젊은 층의 문해력이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신지영 /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(ytn 슬기로운 라디오 출연) : 단지 어떤 단어를 알고 있느냐 모르고 있느냐 이런 걸 어휘력이라고 하는데 어휘력은 사실은 문해력의 아주 극히 일부입니다. 사전 찾아보면 되거든요.] <br /> <br />오히려 세대 간 갈등이 '언어'로 표출됐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디지털 세상에 익숙하지 않은 기성세대가 '심심한 사과' 논란에 '동영상만 보는 요즘 아이들'은 무식하다고 쉽게 비판했고 <br /> <br />반대로, 온라인 언어유희에 익숙한 이른바 MZ세대들은 사과 한 줄로 될 일 아니라는 분노는 외면한 채 한자어를 모른다는 것만으로 비난을 받으니 이에 반발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장재열 / 청춘상담소 '좀놀아본 언니들' 대표 : 한 개인의 특성일 수도 있는 지점까지도 그 개인이 20대나 30대라고 생각되면 바로 '이거 MZ 특성 아니에요'라고 가버리는 성급한 일반화 이거 자체에 대해서 불쾌감을 느끼는….] <br /> <br />진짜 문제는 '디지털 문해력'이란 지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OECD 조사에서 한국 청소년은 인터넷에서 접하는 정보가 믿을 수 있는 것인지는 물론 사실인지 의견인지조차 구별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아 디지털 문해력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랴부랴 2025년부터 고등학교에서 디지털 문해력 과목을 신설하기로 했지만,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90306005714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