냉전 종식 고르바초프 오늘 장례식…신냉전 시대에 영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30일 91세를 일기로 별세한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의 장례식이 오늘(3일) 모스크바에서 엄수됩니다.<br /><br />냉전 종식에 기여하고 개혁·개방으로 소련 해체를 주도한 그는 먼저 세상을 떠난 부인 곁에서 영면에 들게 됩니다.<br /><br />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동서 냉전 종식을 이끌어낸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의 장례식이 현지시간 3일 엄수됩니다.<br /><br />그는 지난달 30일 당뇨와 심장 질환 등으로 인한 오랜 투병 끝에 향년 91세로 별세했습니다.<br /><br />장례식은 모스크바 중심부 볼쇼이 극장 인근 '하우스 오브 유니언' 기둥의 전당에서 진행됩니다.<br /><br />레닌과 스탈린, 브레즈네프 등 옛 소련 정치 지도자들의 추모식도 이곳에서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이날 장례식은 누구나 참석할 수 있도록 공개로 진행됩니다.<br /><br />지난 1일 그의 시신이 안치된 병원을 찾아 조의를 표한 푸틴 대통령은 업무 일정상 장례식에는 참석하지 않을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장례식은 의장대를 비롯한 국장 요소가 일부 포함되긴 했지만 완전한 국장 형식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2007년 사망한 보리스 옐친 전 대통령 장례식은 국장으로 치러졌고, 당시 총리였던 푸틴은 그의 사망일을 국경일로 지정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푸틴 대통령은 크렘린궁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에 대해 "세계사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 정치인이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소련의 붕괴를 '20세기 최대의 지정학적 재앙'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냉전시대 세계 질서를 양분했던 소련의 과거 시절에 대한 추종을 종종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대국민 담화에서는 "'우크라이나 독립 신화'가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에 의해 강화됐다"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소련 시절 개혁·개방을 이끌며 냉전 시대를 종식한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에 대해 러시아 내에선 아직도 소련의 몰락을 가져온 배신자라는 비판이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장례식이 끝난 뒤 고인의 시신은 노보데비치 묘지에 있는 부인 라이사 여사 옆에서 영면에 듭니다.<br /><br />라이사 여사는 지난 1999년 백혈병으로 먼저 세상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#고르바초프 #장례식 #냉전_종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