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광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주 원 /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와이드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. 미국이 이달 또 한 차례큰 폭의 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환율 1,400원 선도 위험하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. 환율 전망과 대책, 오늘은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과 전망하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. <br /> <br />[주원] <br />안녕하십니까. <br /> <br /> <br />연고점을 또 갈아치웠습니다. 2009년 4월 이후 최고치. 1362.6원. 최근에 저희가 지난주 추이도 준비했습니다마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 <br /> <br />[주원] <br />아무래도 올라가려는 힘이 더 강한 것 같고요. 원인은 당연히 미 연준이 9월달에 자이언트스텝을 하겠다, 이런 연준 인사들. 의장을 비롯한 거의 협박성 발언이죠. 그러니까 이렇게 올리니까 물가를 떨어뜨려야 된다는 그런 발언이 상당히 힘을 얻고 있고요. <br /> <br />다만 경로가 문제인데 원인은 미국이 빠르게 금리를 올리는 건 맞아요. 그런데 경로는 그것 때문에 한미 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생겨서 우리 자본이 이탈하기 때문에 환율이 올라간다, 이게 아니고 사실은 유로화나 엔화도 같이 좀 약세를 보이고 있거든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엔화는 통화정책을 제로금리를 유지하겠다고 상당 기간, 그것 때문에 약세고 그리고 유럽 쪽은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경기침체 우려가 상당히 있습니다. 그러다 보니까 펀더멘털이 안 좋으면 그쪽 통화가 또 약세가 되는 거고. 그러면 통화 쪽에서는 달러화밖에 안전자산이 없거든요. 그래서 국제금융시장에서의 달러화에 대한 선호 이런 게 우리나라 환율시장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단순히 한미 간의 환차가 문제가 되는 게 아니라 일본이라든지 유럽의 시장까지 포함해서 봐야 된다, 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변수를 포함해서 보고 계시다. 사실 환율 관련해서는 1365원 정도, 이걸 전문가들이 대체로 고점으로 봤는데 지금 고점을 찍었다고 보십니까? 어떻게 보세요? <br /> <br />[주원] <br />지금 분위기는 고점이 아닐 것 같은 확률이 되게 높아요. 그러니까 금융위기 때도 보면 1400원대 이상 그리고 한 하루이틀 정도는 1500원 이상도 한 번 찍었거든요. 1400원대 이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90316340569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