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일부 건설사가 무순위 청약을 진행하면서 청약 신청을 자제해달라는 호소문까지 내거는 경우가 생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자격 조건을 확인하지 않고 덜컥 당첨됐다가 계약하지 않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어떤 이유가 있는 건지, 최기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내년 8월 입주를 목표로 공사 중인 이 주상복합건물은 미계약 물량을 털어내기 위해 다섯 번 넘게 무순위 청약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지역에 사는 무주택자가 아닌 사람들이 일단 지원했다가 부적격자로 드러나거나, 변심해서 계약하지 않는 일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현행 규정은 청약 경쟁률이 1 대 1을 넘으면 무조건 무순위 청약으로 잔여 가구를 공급해야 하고, 그 밑으로 경쟁률이 떨어져야 선착순 판매가 가능하도록 강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해당 건설사 관계자 : 당첨된 물건에 천만 원이든 백만 원이든 받고 넘길 수 있는지 그런 생각을 하는 분들이 좀 있더라고요. 위치도 봐야 하고, 금액도 봐야 하고, 다 보고 넣어야 하는데 그냥 뜨면 일단 넣는 거예요. '묻지 마'죠. 묻지 마.] <br /> <br />상황이 이렇다 보니 모집 공고문에 자격 요건이 안 되면 청약을 자제해달라는 문구를 붉은 글씨로 넣기까지 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강북구 한 아파트 역시 '묻지 마 청약'으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하는 글귀를 크게 적어뒀습니다 <br /> <br />무순위 청약 진행하는 사업장은 계속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상반기 전국 44곳에 머물던 무순위 청약 접수 사업장은 올해 같은 기간 200곳으로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무순위 청약을 2회 이상 진행한 아파트는 서울에만 7곳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업계에선 시장 침체를 주요 원인으로 꼽습니다. <br /> <br />[여경희 /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: 과거에는 당해 마감되거나 무순위에서도 일찌감치 마감되는 사례가 많았는데, 최근 청약 열기가 잦아들면서 무순위 청약이 반복 진행되고, 이것이 시간과 비용의 낭비로 이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또 접수할 때 따로 자격을 검증하지 않는 낮은 진입 장벽도 배경이라고 진단합니다. <br /> <br />[함영진 / 직방 빅데이터랩장 : 청약을 일단 하고 계약은 하지 않는 문제들이 생겨서 건설사 입장에서는 분양률을 높인다든지 미분양을 소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건설사는 무순위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기성 (choiks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90322253059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