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대마에서 씨 부분은 건강기능식품으로도 많이 가공되죠.<br> <br> 다만 잎은 환각성이 있어 유통시키는 건 불법입니다.<br> <br> 하지만 대마초로 만들어 유통시키는 일당이 끊임없이 잡히는데요. <br><br>관련 제도를 들여다 봤더니 속이고자 작정하면 잡아낼 수 있겠는가 허점이 많았습니다.<br> <br> 백승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경북의 한 야산. <br> <br>작은 나무처럼 생긴 풀들이 곳곳에 심어져 있습니다. <br> <br>모두 대마입니다. <br> <br>이곳에서 지난해 11월부터 대마를 키워 불법 판매한 일당 4명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. <br> <br>경작지로 사용된 야산 면적은 3천㎡에 이릅니다. <br><br>경찰이 압수한 대마초는 약 30kg. <br> <br>지난해 전체 압수량의 60%에 가깝습니다. <br> <br>시가로 29억 원어치, 9만7천 명이 동시 흡연할 수 있는 양입니다. <br><br>최소 10kg의 대마초로 가공할 수 있는 생대마 690여 주도 압수했습니다. <br><br>대마 종자와 성숙한 줄기는 환각 성분이 없고 기름이나 삼베를 만드는데 이용됩니다. <br> <br>반면 환각 성분이 있는 잎과 꽃은 폐기해야 합니다.<br> <br>이들은 종자 채취를 목적으로 재배 허가를 받았는데 파종기와 수확기, 두 차례만 지자체의 점검을 받는다는 허점을 노렸습니다.<br> <br>파종 점검 후 추가로 대마를 심고 수확 점검 직전 몰래 거둬들인 뒤 잎으로 대마초를 만든 겁니다. <br> <br>[강선봉 / 서울경찰청 마약수사2계장] <br>"종자 7kg을 수확하고 대마 잎과 줄기 7kg을 폐기한 것으로 기재돼 있는데 A 씨(주범)는 감독관청의 점검 전에 대마를 몰래 수확함으로써 대마초 30여 kg을 은닉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" <br><br>일당은 대마초 1kg을 SNS를 통해 판매했고, 전자담배용 액상대마도 제조했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이를 구매하거나 클럽 등 유흥업소에서 흡연한 13명도 입건했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대마 재배 관리에 허점이 있다고 보고,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도 개선을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조세권 <br>영상편집: 오성규<br /><br /><br />백승연 기자 b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