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국 경제 곳곳 '빨간불'…국내 경제 수장들 회동 / YTN

2022-09-04 137 Dailymotion

[추경호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] <br />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되는 복합 위기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경제도 최근 물가상승세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대외 여건 악화로 인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의 겨움이 지속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물가의 경우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국제유가 하락, 정책 효과 등으로 21개월 만에 전월 대비 하락하며 5.7%를 기록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추석 명절을 앞두고 물가 오름세가 조금이나마 완화된 점은 다행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 지속되고 있고 장마에 이은 태풍 등 기상 악화 영향 등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한시도 경계감을 늦추지 않고 조속한 물가, 민생 안정을 위해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 최근 국제금융시장 불안이 재차 확대되며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도 확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는 대내 요인보다는 주로 대외 여건 악화에 기인합니다. <br /> <br />우선 환율의 경우 달러화가 20년 만에 최고치까지 상승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영향으로 주요국 통화 모두 달러화 대비 큰 폭의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우리도 예외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특히 8월 들어 무역수지 악화, 위안화 약세 영향 등이 중첩되며 원-달러 환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높아진 환율 수준과는 달리 대외건전성 지표들은 큰 변화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국가신용위험도 지표인 CDS프리미엄은 7월 이후 하락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며 우리 기업과 금융기관의 해외 채권 발행을 통한 외화 조달도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종합적인 대외 거래 지표인 경상수지도 높은 불확실성으로 당분간 월별로는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이지만 상반기 중 248억 불 흑자를 기록하는 등 연간으로 상당 규모의 흑자 달성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 최근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과 중국 등 글로벌 수요 둔화 등으로 인해 무역수지가 악화되면서 향후 경상수지 흑자 축소 가능성도 있는 만큼 정부는 지난주 발표한 수출 경쟁력 강화 및 해외 인프라 수주 활성화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한편 무역구조 전반에 대한 개선 방안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가겠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경상수지와 내외국인 자본 흐름 등 외환 수급 여건 전반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변화된 글로벌 시장 여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모색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2090507342808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