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집중 호우로 큰 피해를 봤던 수도권 주민들도 불안감 속에 밤을 지새웠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복구를 다 끝내지도 못했는데 밤새 비가 내려 걱정이 클 수밖에 없었는데요, <br /> <br />지금 상황은 어떤지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정인용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저는 경기 광주시 퇴촌면의 한 마을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주택 앞에 토사가 쌓여 있는 것 같은데, 지난달 폭우로 인한 피해가 아직도 복구되지 않은 거라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곳 주택 앞에는 지난달 폭우에 쓸려 내려온 토사가 여전히 쌓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흙더미가 거의 산을 이루고 있는 건데요, <br /> <br />바로 옆에는 기울어져 있거나 넘어져 있는 오래된 나무들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낙 피해가 크다 보니 굴착기로 땅을 퍼내는 등 복구 작업을 시작한 지 한 달이 돼 가는데도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주민들은 이처럼 복구가 완료되기도 전에 태풍에 추가 피해를 볼까 봐 뜬눈으로 밤을 지새울 수밖에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민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<br /> <br />[김경수 / 경기 광주시 퇴촌면 주민 : 산사태가 이미 난 상태라 비가 좀만 오면 (토사가) 내려오니까 바위 같은 게 여기 다 떠내려왔습니다. 어제도 비가 많이 온다는 예보가 있어서 제가 잠도 못 자고 내려갔다가 올라갔다가 계속 집을 둘러보고….] <br /> <br />지난 폭우로 산사태가 났던 지역 가운데 대부분이 일상을 되찾았지만 이곳처럼 회복하지 못한 지역도 적지 않은데요, <br /> <br />추가 산사태 우려가 큰 지역을 중심으로는 현재 방수포와 그물망이 설치돼있는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 경기 광주시에서는 지난 폭우 당시 산사태가 마흔 건 가까이 발생한 거로 집계됐는데요, <br /> <br />하천시설이나 소규모 시설 등 다른 공공시설 피해까지 합치면 피해액만 300억 원이 넘는 거로 정부는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민들은 큰 고비를 넘겼다는 반응이지만 사방댐 등 결국은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인데요, <br /> <br />현재 비는 소강상태에 접어든 가운데 주민들은 당장은 신속한 복구를 통해 걱정 없는 추석 명절을 맞이하기만을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기 광주시 퇴촌면 마을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정인용 (quotejeo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90609182221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