힌남노·사라·루사·매미…가을에 집중된 '역대급 태풍'<br /><br /><br />특히 제11호 태풍 '힌남노'는 과거 최악의 피해를 안긴 태풍 '매미'처럼 가을 태풍으로 불리는데요.<br /><br />기후 변화로 가을 태풍의 빈도가 더 빈번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태풍 '힌남노'의 특징과 함께 기후 변화와 이번 태풍의 관계를 전문가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문일주 제주대학교 태풍연구센터 교수를 화상으로 연결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먼저 제주에 계신 만큼, 지난밤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었던 제주 상황부터 좀 여쭤보겠습니다. 힌남노가 지난 자정쯤 매우 강한 상태로 제주를 통과했는데요. 밤사이 느낀 힌남노의 위력은 어느 정도였습니까?<br /><br /> 특히 힌남노는 기상청에서도 매우 특이한 사례라고 할 만큼 발생 과정이 매우 이례적입니다. 약한 태풍의 경우엔 북위 30도 선을 넘으면서 강해지는 모습이지만 힌남노는 강한 태풍이 북위 30도 선을 넘어 재강화한 모습인데요. 이렇게 특이한 과정을 거친 배경은 뭐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그런데 역대급 태풍으로 불리는 힌남노가 우리나라에 많은 비를 뿌려 여러 지역에서 비 피해가 보고되고는 있지만, 예상보다 바람에 의한 피해는 크지 않았다는 평가도 나오는데, 맞습니까?<br /><br /> 태풍 좌측에 위치했던 점은 매우 다행으로 생각되는데요. 태풍 진로의 좌측에는 왜 바람이 약하고 우측에는 바람이 강한 건가요?<br /><br /> 궁금한 게 바로 힌남노 역시, 가을 태풍이라는 점입니다. 과거 최악의 태풍으로 평가받는 사라와 매미 역시 가을에 발생했는데요. 위력이 센 태풍들이 왜 가을에 자주 오는 건가요? 그리고 가을 태풍 풍의 발생하는 빈도 수가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 데 사실인가요?<br /><br /> 지구 온난화 여파로 앞으로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더 강해질 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이번 태풍이 지나더라도 또 다른 태풍이 올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결국 열받은 바다가 슈퍼 태풍 힌남노를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텐데요. 그래선지 기후 변화의 습격이다, 기후 변화가 키운 괴물 태풍, 이런 표현까지 나옵니다. 갈수록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가 더 클 것으로 생각되는데요. 이상 기후 변화에 대비하는 재난 대응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는지요?<br /><br />#제11호_태풍 #힌남노 #매미 #가을태풍 #북위_30도 #지구온난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