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태풍의 길목이었던 경남 가 보겠습니다. <br> <br>강풍과 해일 우려가 컸지만, 다행히 큰 피해 없이 지나갔습니다. <br> <br>태풍 속도가 빨라져 휙 지나간 덕도 봤지만, 철저한 대비도 한 몫 했다는데요. <br> <br>구자준 기자가 현지에서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힌남노가 통영에 상륙한 건 오늘 새벽 4시 50분. <br> <br>예상보다 빠른 상륙이었습니다. <br> <br>경남 지역은 강풍에 전신주가 쓰러져 일대가 암흑으로 변했고, 주택가 담벼락이 무너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변전소가 침수돼 하마터면 감전사고로 이어질 뻔했습니다. <br> <br>만조 때와 겹치면서 폭풍해일 우려도 있었지만 다행히 큰 피해는 없었습니다. <br> <br>속도가 느릴수록 피해가 커지지만, 태풍 진행 속도가 빨랐습니다. <br> <br>잠을 설치며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한 주민들과 지자체의 노력도 몫을 했습니다. <br> <br>마산항 근처 철옹성 같은 구조물입니다. <br><br>바닷물이 넘어오는 걸 막기 위해 높이 2m, 길이 200m의 차수벽이 가동됐습니다.<br> <br>지난 2003년 남해안을 강타한 태풍 매미 이후 설치된 차수벽은 양옆의 강화유리까지 합쳐 길이만 1km에 달합니다. <br><br>[김덕현 / 어민] <br>"매미 때는 저쪽 횟집들이 전부 지하에 침수됐거든. 저게(차수벽) 있어서 저기로 이제 물이 범람을 안 하지." <br> <br>태풍 '매미'를 겪었던 주민들은 걱정했던 것보다 적은 피해에 안도의 한숨을 내쉽니다. <br> <br>[김광수 / 횟집 주인] <br>"(문을) 박스나 스티로폼으로 틈틈이 메웠습니다. 빗물이 들어가면 해산물 폐사라든지 (피해가 큰데) 천만다행입니다." <br><br>이번에 접수된 경남 지역 피해 신고는 모두 1178건. <br> <br>이전보다 건수는 줄었고 인명피해도 없었습니다. <br><br>태풍이 가장 먼저 육지에 닿은 곳이지만 방심하지 않고 철저히 대비한 덕분에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일웅 김덕룡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