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태풍은 애초 우려했던 것보다는 세력이 다소 약해져 남해안에 상륙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상륙 지점인 남해안보다는 오히려 경북 동해안에 강한 비가 집중되며 피해가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태풍 '힌남노'의 특성을 김진두 기자가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태풍 '힌남노'는 제주도를 스치듯 지나 경남 거제에 상륙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경남 내륙을 관통한 뒤 울산 앞바다로 진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거제 상륙 당시 '힌남노'의 중심 기압은 955.9hPa, 예상했던 950hPa보다는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가장 강한 세력을 지녔던 태풍 '사라'와 태풍 '매미'보다 약한 태풍으로 기록됐습니다. <br /> <br />관측된 바람은 최대 초속 43.7m, 역대 5위권에도 들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광연 / 기상청 예보분석관 : (태풍이) 약화한 원인 중의 하나는 결국 북쪽에서 내려오는 기압골이, 그때 위성 영상을 보시면 건조공기가 그 기압골을 뚫고 남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, 이렇게 유입된 건조 공기에 의해 (태풍 세력이 약해진 것입니다.)] <br /> <br />하지만 남해안에 상륙한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속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태풍이 상륙한 경남 남해안보다 경북 포항과 경주 지역에서 더 큰 피해가 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유는 폭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반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태풍 비구름과 수증기가 경북 동해안과 부딪히며 비구름이 더 강하게 발달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포항에 400mm 가까운 비가 내린 반면 거제는 183.6mm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[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: 포항은 무슨 특징이 있느냐면 태풍이 오면 동풍이 바다로부터 들어옵니다. 뜨거운 공기가 바다 공기와 같이 지형에 부딪히게 되면 상승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애초 우려했던 최악은 피했지만, 전국을 긴장시켰던 가을 태풍 '힌남노'. <br /> <br />제주도와 영남, 울릉도 지역을 할퀴고 지나가며 비바람 피해를 남겼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2090622133334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