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태풍 힌남노로 우리나라 기간산업인 철강도 타격을 입었습니다.<br> <br>1973년 만들어진 포항제철소에서 용광로 3기의 가동이 중단됐습니다.<br> <br>가동 중이던 용광로 세 개가 동시에 멈춘 건 이번이 처음인데 닷새 이상 멈추면 피해가 훨씬 커집니다.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포항제철소가 태풍 힌남노 피해로 이틀째 가동을 멈췄습니다. <br> <br>노후화로 폐쇄된 1고로를 제외한 2·3·4고로가 모두 멈춰섰습니다. <br> <br>3개 고로가 동시에 멈춘 건 1973년 쇳물 생산을 시작한 이후 49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> <br>고로 자체는 침수되지 않았지만 일부 작업장과 수전변전소가 물에 잠기면서 정전까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고로는 점검 때를 제외하고 24시간 돌아가야 하는데 닷새 이상 가동이 멈추면 내부 균열이 일어나 재가동까지 수개월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연간 1500만t의 철강 제품을 생산하는 포항제철소의 지난해 매출 규모는 약 18조5000억원에 이릅니다. <br> <br>단순 계산하면, 가동 중단에 따른 하루 매출 손실은 약 500억원에 달하는 셈. <br> <br>고로 가동에 필요한 철광석, 석탄 등 원자재는 물론 만들어 놓은 제품도 침수되면서 피해액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포스코 측은 "침수된 수전변전소를 1~2일 안에 우선 정상화시켜 복구작업에 물꼬를 트겠다"며 "포항제철에서 생산된 철강 반제품을 광양제철소로 돌려 생산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포스코가 비상대응에 나섰지만 가동 중단이 장기화되면 조선이나 자동차 등 산업계 피해도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