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30 부산엑스포 유치에 민관 총력전 돌입…리야드와 사활건 승부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림픽,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빅 이벤트로 꼽히는 국제 등록박람회, 엑스포 유치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제박람회기구에 부산 유치계획서를 현지시간 7일 공식 제출한 건데요.<br /><br />앞으로 1년여간 사우디아라비야 수도 리야드와 사활을 건 승부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세계 각국의 생산품을 전시하거나 그 나라의 문화, 과학기술 등을 소개하는 대규모 행사인 국제박람회.<br /><br />줄여서 '엑스포'로 불리는 이 행사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무려 61조 원으로 추산됩니다.<br /><br />50만 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됩니다.<br /><br />170개 국제박람회기구, BIE 회원국들이 수개월간 한 나라의 도시에 모여 박람회를 진행하면 경제 전반에 성장 동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2030년 부산 유치를 목표로 한 윤석열 정부는 이번 유치계획서 제출을 계기로 재계, 민관외교 차원의 지원까지 받아 총력전을 펼치겠다는 각오입니다.<br /><br />(지난달) "경제적 효과가 워낙 크기 때문에 저희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것이고,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대통령실 차원에서 유치전에 전폭적인 지원 동력을 제공한다면 실무적인 유치 활동은 국무총리실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됩니다.<br /><br />국내 굴지의 기업도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유치 활동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기업별로 전담 국가가 지정됐는데, 삼성이 가장 많은 31개국을 담당하고 SK, 현대차, LG도 10개국이 넘는 나라를 맡았습니다.<br /><br />강력한 경쟁 상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.<br /><br />지난해 가을 엑스포 유치 신청서를 제출한 사우디는 막강한 오일머니를 앞세워 아프리카 대륙과 이슬람권 국가를 집중 공략해 왔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맞서 우리나라는 올림픽, 월드컵과 같은 대규모 행사를 치른 경험, IT 강국으로서의 이미지를 앞세워 반전을 꾀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2030년 엑스포 개최 도시는 내년 11월 회원국의 비밀 투표로 최종 결정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.<br /><br />#엑스포 #부산 #리야드 #경제파급효과 #IT강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