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풍 ’힌남노’ 월파 피해…6년 만에 또 ’물벼락’ <br />방파제 계획 수립부터 완공까지 수년…피해 반복 <br />월파 취약한 해안길 보도블록…보강 대책도 필요<br /><br /> <br />이번 태풍 '힌남노' 때 월파 현상으로 부산 해안지역의 상가와 도로 시설물들이 크게 훼손됐습니다. <br /> <br />강력한 태풍이 찾아올 때마다 피해가 반복되고 있는데, 대책은 없는지 차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부산 청사포 해안가 점포들이 아수라장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상인들은 모래주머니와 콘크리트 덩어리까지 동원해 월파에 대비해봤지만, 개인의 힘으로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6년 태풍 '차바' 때 월파 피해를 겪은 상인은 반복되는 재난이 야속합니다. <br /> <br />[최 준 / 부산 청사포 상인 : 판자를 대고 별짓을 다 해봤는데 10m 파도가 만조 때 바로 때릴 때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. 옆에도 콘크리트 보를 2개씩 쌓아도 다 깨지니까….] <br /> <br />월파 대책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지자체가 나서 방파제 등을 추가로 설치하는 방안이 매년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예산 확보가 쉽지 않고 설계와 착공까지 수년이 걸리다 보니 결국, 이번 태풍도 고스란히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물론 내년에도 비슷한 피해가 반복될 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상습 월파 지역의 해안 시설물을 보강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파도에 휩쓸린 보도블록들이 도로 건너편 상가를 덮치거나, 포장도로가 떨어져 나가는 일이 반복되고 있는데 파도에 강한 설계로 파손을 막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권순철 / 부산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: 보도블록처럼 단위 별로 떨어지지 않고 뜯어져 나갈 수 있는 구조물이 아닌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거나, 구조물 이탈이 생기지 않는 형태로 설계하는 게 중요합니다.] <br /> <br />자연재해를 사람의 힘으로 모두 막는 건 어려운 일이지만, 대책을 알고도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 건 정부와 지자체의 의지 부족이라는 비판이 나올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차상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차상은 (chas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90805031183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