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서 당 대표를 선출한 민주당에 이어 여당인 국민의힘도 돌고 돌아 다시 새 비대위를 꾸렸는데요, <br /> <br />당이 위기에 빠질 때마다 구원 투수처럼 등장하는 비대위지만,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권의 비대위 역사, 정유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열린 제 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는 국민의힘, 민주당, 여기에 정의당까지 여야 1,2,3당 모두, 대표 대신 비상대책위원장이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당사에 찾아보기 힘든 드문 광경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여당이 됐든 야당이 됐든, 선거에서 대패한 뒤에는 대부분 지도부가 사퇴하고 비상대책위원회가 들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[김무성 / 당시 한나라당 비대위원장 (지난 2010년) : 국민 여러분들께 한나라당이 크게 변한 모습의 결과가 나오게 하느냐가 중요하다.] <br /> <br />[박지원 / 당시 민주통합당 비대위원장 (지난 2012년) : 어떠한 경우에도 독주하지 말고 세력 균형과 의원님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서….] <br /> <br />최근 활동이 종료된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대위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대선에 이은 지방선거 참패를 반성하고 다시 도약하자는 취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[우상호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(지난 6월) : 제가 앞으로도 말씀드리겠지만, '수박' 이런 단어 쓰시는 분들 제가 가만 안 놔둘 겁니다.] <br /> <br />그런 점에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잇따라 승리하고도 법원 가처분 결정을 거쳐 두 차례나 비대위를 꾸린 국민의힘은 그 주요 원인이 내부 집안 싸움이라는 점에서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정진석 / 신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지난 8일) : 제가 독배라는 표현을 썼습니다만 독배니까 제가 피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한 겁니다.] <br /> <br />선거 후유증이 대체로 가장 큰 원인이었지만, 비대위는 선거를 목전에 두고, 멀어진 민심을 잡기 위한 극약 처방으로도 쓰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1년 출범한 박근혜 비대위가 대표적으로,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바꾼 뒤 19대 총선에서 과반이 넘는 152석을 확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근혜 / 당시 한나라당 비대위원장(지난 2012년) : 우리 모두는 쇄신의 주체도 될 수 있고 쇄신의 대상도 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여야는 때로, 상대 진영의 인물을 과감히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며 판을 흔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과정에서 김종인 전 위원장은 민주당과 국민의힘에서 차례로 비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유진 (yjq0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91005465029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