中 ’서열 3위’ 리잔수, 수행단 66명 이끌고 방한 <br />윤석열 대통령 예방…한중 정상회담 협의 가능성 <br />29일 美 해리스 부통령 방한…윤 대통령 접견 <br />한국산 전기차 차별 문제 ’발등의 불’<br /><br /> <br />이번 추석 연휴가 끝난 뒤엔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인사들이 잇달아 우리나라를 찾습니다. <br /> <br />한반도를 둘러싼 G2의 줄다리기 속에 '어부지리'를 취할 외교전략이 필요한 때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공산당 서열 3위인 리잔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장이 오는 15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방한합니다. <br /> <br />김진표 국회의장의 초청에 따른 방문이지만, 66명에 달하는 수행단 규모만큼 가벼운 걸음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도 예방해 오는 11월 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주석과 대면 회담을 논의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[박진 / 외교부 장관 (지난달 24일) : 미래 30년 한중 관계의 발전을 위해 (시진핑) 주석님을 직접 뵙고 협의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.] <br /> <br />주한미군 사드 기지 운영 정상화 움직임 속에 가시 돋친 말이 오갈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입장에선 북한의 공세적 핵 전략 법제화에 대한 중국의 책임 있는 대답도 받아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마오닝 / 중국외교부 대변인 (지난 9일) :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한다는 기본 입장에서 정치적 해결을 위해 계속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무엇보다 이번 방한, 한반도를 둘러싼 미중 간 줄다리기 외교 성격이 짙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29일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의 방한이 예정돼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 비핵화 해법과 확장 억제력 제공 등 미국과 풀어야 할 현안도 산적해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(IRA)에 따른 한국산 전기차 차별 문제는 발등에 떨어진 불입니다. <br /> <br />[존 커비 / 미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 : 한국이 제기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 문제를 진지하게 협상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. 몇 달 뒤 있을 시행령 제정 때 좀 더 구체적인 내용 확인이 가능할 겁니다.] <br /> <br />추석 연휴가 끝난 뒤 한반도에서 벌어질 미중 간 '고래싸움', '어부지리'를 얻을 수 있는 기회로도 보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91118561019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