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10월엔 정점?…국제정세·환율에 고물가 더 갈 수도

2022-09-12 0 Dailymotion

10월엔 정점?…국제정세·환율에 고물가 더 갈 수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개월 만에 주춤하면서 물가 정점이 가까워졌단 관측이 나오고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농산물, 외식 같은 먹거리값이 고공행진 중인데다 수입품 가격 올리는 환율 오름세도 꺾일 기색이 없어 물가 고통이 길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와 한국은행이 당초 예상한 물가 정점은 가을입니다.<br /><br />원자재 공급 차질이 다소 풀리고 국제유가도 한풀 꺾이면서 이르면 이달 늦어도 다음달에는 물가 상승폭이 둔화할 것이란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체감 물가는 여전히 떨어질 기색이 없습니다.<br /><br /> "요새 소고기 가격은 어떻습니까? (한우는 비싸요 아직) 수입 쇠고기는? (수입도 비싸요) 한 달 전보다는 어때요? (한 달 전보다 올랐어요) 수입이? (네)"<br /><br />통계를 봐도 석유류를 빼면 식료품부터 공과금까지 대부분 물가는 8월에도 7월에 비해 어김없이 올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올해 여름 폭염과 폭우가 겹친데다 태풍 피해까지 발생해 최근에는 배추와 무, 양파 같은 채솟값이 크게 뛰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불안정한 국제 정세는 물가 안정의 최대 변수입니다.<br /><br />러시아의 대유럽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당분간 가스값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데, 산유국들의 감산 가능성에 국제 유가도 여전히 불안합니다.<br /><br />그러자 한국은행의 전망도 조금 달라졌습니다.<br /><br /> "물가 정점의 시기가 지난 것인지, 아니면 조금 지연될 것인지 이런 것들을 현재로서 단정해서 말씀드리기는 좀 어렵지 않느냐…"<br /><br />달러당 1,380원을 넘어선 환율마저 물가를 자극하고 있지만 금리 인상 외에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다음달 한국은행이 또다시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인데, 벌써 초유의 5연속 금리 인상을 점치는 분석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물가 #기준금리 #한국은행 #추경호 #금리인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