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3분의2 사망…"시간이 없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에 있는 가족과의 상봉을 신청한 이산가족은 모두 13만3,000여 명입니다. 그런데 상봉 신청자 3명 중 2명 꼴은 이미 세상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정말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인데, 현재 남북관계 상황에서 이산가족 상봉은 기약이 없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추석 연휴를 하루 앞두고 이산가족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 당국 간 회담을 열자고 북한에 공개적으로 제의한 권영세 통일부 장관.<br /><br />권 장관은 '이산가족'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북한의 호응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. 한 달에만 이산가족 400여 분이 세상을 떠납니다. 남아계신 4만여 분도 80~90대의 고령입니다."<br /><br />지난달 말 기준으로 북쪽에 있는 이산가족 찾기를 신청한 누적 인원은 13만3,600여 명.<br /><br />이들 중 67%에 해당하는 8만9,900여 명은 이미 세상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사망자 중 북측 가족과 상봉 경험이 있는 사람은 2%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생존자 4만3,700여 명의 평균 연령은 82.4세로, 66.4%가 80~90대 초고령입니다.<br /><br />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2000년 8월 처음 시작돼 2018년 8월까지 모두 21번 열렸습니다.<br /><br />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하면서 이산가족 상봉은 4년 넘게 재개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018년 9·19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했던 상설면회소 개소와 화상 상봉, 영상편지 교환 등도 서류상 계획으로만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추석을 맞아 통일부 장·차관이 이산가족을 찾아가 위로하는 등 정부는 이산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한의 호응이 없다면 정부의 어떠한 노력도 사실상 소용이 없게 됩니다.<br /><br />최근 남쪽과 상종도 않겠다는 태도를 보인 북한이 당장은 이산가족 논의를 위한 남북 당국회담 제안을 수용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#이산가족 #통일부 #북한 #남북회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